의협, 의대 정원 동결 소식에 만시지탄
교육부, 2026년도 3058명 확정...김성근 대변인 “정상으로 돌아가는 한걸음 내딛었다”
[의약뉴스] 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2024학년도와 동일한 3058명으로 확정했다는 소식에 의협이 “이제라도 정상으로 돌아가는 한 걸음을 내딛었다”고 평가했다.
앞서 교육부 이주호 장관은 2026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이주호 장관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입학정원을 2024년도 수준으로 조정하자는 의대 총장들의 건의를 받아들였다”며, “아직 학생 복귀 수준이 목표에 미치지 못하지만,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정원 동결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는 국민에게 사과하며, 2027학년도 이후의 정원은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만시지탄이나 이제라도 정상으로 돌아가는 한걸음을 내디딘 것으로 평가한다”고 논평했다.
의협 김성근 홍보이사겸대변인은 17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근거 없이, 교육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증원정책은 잘못된 것”이라며 “잘못을 고쳐 다시 이야기하자고 1년 넘게 이야기했는데, 여기까지 오는 것이 왜 이리 힘들었는지 모르겠다”고 한탄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의료개혁 과제를 중단해야한다고 다시 한 번 정부에 요구했다.
그는 정부의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에 대해 “이미 망가져버린 24시간 응급의료체계를 어떻게 재구축할 것인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은 의료개혁 과제를 중단하고 의료계와 지속 가능한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나라 의료에 대한 문제는 의료계도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해법을 다르게 찾아야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김 대변인은 오는 20일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에 대해 “국민들에게 의사와 의대생들이 왜 이렇게 힘든 길을 가고 있는지를 알리기 위한 집회”라고 설명했다.
그는 “집회는 정부에 대한 압박용으로 볼 수 있지만, 회원들의 목소리를 가장 크게 낼 수 있는 수단”이라며 “집회를 위해 휴진하는 것이 아니기에, 휴일을 집회일로 정했고 이는 국민들에게 피해를 끼지 않기 위해서다”고 말했다.
이어 “한번 잘못 만들어진 제도는 수십 년을 어렵게 하기에 지금 조금 어렵고 힘들더라도 의료체계를 바로 잡고 유지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준비한 집회”이라며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고 정상으로 돌아가는 발판이 마련되기를 바한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