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계, 21대 대선 선거운동 후보자 행보에 촉각

지난 20대 대선 사례 재조명... “산업계 vs 보건의료계 프레임 대결 가능성”

2025-04-17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의 행보에 보건의료계의 이목이 쏠리고있다. 

20대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공공심야약국을 방문해 약사들로부터 심야시간대 의약품 접근성 및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수렴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역시 공공심야약국 방문을 추진했으나 일정상 성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선 이후 여야간 합의로 공공심야약국에 대한 국가 예산 지원 법안이 통과됐다.​

▲ 지난 20대 대선 당시 공공심야약국을 방문한 이재명 후보.

보건의료계는 이번 21대 대선에서도 후보자들이 현장을 방문, 공약에 현장의 목소리를 담기를 바라고 있다.

특히, 의료 대란과 의약품 품절 사태 등 보건의료 현안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보건의료계 관계자 A씨는 “보건의료 단체들이 자체적으로 정책기획단을 구성해 대선 선거운동 과정에 영향을 미치려 하고 있다”며 “대선은 전국 단위 선거로, 대규모 정책 공약이 제시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후보자들이 병원을 방문해 의료진의 어려움을 직접 보거나, 약국을 방문해 의약품 품절로 인한 환자들의 혼란을 듣는다면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에 반영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고 전했다.​

반면, 후보자들의 행보에 따라 보건의료계보다 산업계의 목소리에 더 힘이 실릴 수도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는 스타트업 창업가와의 간담회를 통해 비대면 진료 혁신을 약속했으며, 당선 이후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등 산업계에 우호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이번 21대 대선에서도 보건의료계와 산업계 간 정책 프레임 대결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보건의료계 관계자 B씨는 “20대 대선에서는 팬데믹 대응을 위한 의료역량 강화와 비대면 진료 도입 등 신산업 혁신이라는 의제가 충돌했다”며 “이번 대선에서도 유사한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AI와 디지털 신기술 등 변화의 흐름이 거센 상황에서, 원칙을 지키려는 보건의료계와 산업계가 치열한 정책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