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계, 21대 대선 선거운동 후보자 행보에 촉각
지난 20대 대선 사례 재조명... “산업계 vs 보건의료계 프레임 대결 가능성”
[의약뉴스] 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의 행보에 보건의료계의 이목이 쏠리고있다.
20대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공공심야약국을 방문해 약사들로부터 심야시간대 의약품 접근성 및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수렴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역시 공공심야약국 방문을 추진했으나 일정상 성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선 이후 여야간 합의로 공공심야약국에 대한 국가 예산 지원 법안이 통과됐다.
보건의료계는 이번 21대 대선에서도 후보자들이 현장을 방문, 공약에 현장의 목소리를 담기를 바라고 있다.
특히, 의료 대란과 의약품 품절 사태 등 보건의료 현안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보건의료계 관계자 A씨는 “보건의료 단체들이 자체적으로 정책기획단을 구성해 대선 선거운동 과정에 영향을 미치려 하고 있다”며 “대선은 전국 단위 선거로, 대규모 정책 공약이 제시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후보자들이 병원을 방문해 의료진의 어려움을 직접 보거나, 약국을 방문해 의약품 품절로 인한 환자들의 혼란을 듣는다면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에 반영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고 전했다.
반면, 후보자들의 행보에 따라 보건의료계보다 산업계의 목소리에 더 힘이 실릴 수도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는 스타트업 창업가와의 간담회를 통해 비대면 진료 혁신을 약속했으며, 당선 이후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등 산업계에 우호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이번 21대 대선에서도 보건의료계와 산업계 간 정책 프레임 대결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보건의료계 관계자 B씨는 “20대 대선에서는 팬데믹 대응을 위한 의료역량 강화와 비대면 진료 도입 등 신산업 혁신이라는 의제가 충돌했다”며 “이번 대선에서도 유사한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AI와 디지털 신기술 등 변화의 흐름이 거센 상황에서, 원칙을 지키려는 보건의료계와 산업계가 치열한 정책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