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국면 전환, 보건의료계 단체도 정책 제안 마련 분주
선관위, 21대 대선 예비후보 등록 시작...“정책기획단 출범 준비”
[의약뉴스] 보건의료계 단체들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책기획단을 꾸리며 선거 체제로 전환을 시작했다.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한 직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통령 선거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선관위는 선고직후 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을 시작하며, 국외부재자 투표 신청도 접수한다고 발표했다.
대통령 권한 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도 대국민 담화를 통해 “주권자인 국민 여러뿐의 뜻을 받들어 헌법과 법률에 따라 다음 정부가 차질 없이 출범할 수 있도록 차기 대통령 선거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21대 대선 정국이 시작되자, 보건의료계 단체들도 정책 건의 준비를 위한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60일 이내에 21대 대선이 진행되기 때문에, 새로운 정책 건의보다는 오래된 현안들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의료계는 정책건의를 위한 전담 조직을 꾸려 의료수가 현실화, 의대 교육 환경 개선,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등의 정책을 건의할 계획이다.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대통령 선거 체제가 시작됐으니, 이에 맞춰서 정책 건의를 위한 별도 조직을 구성할 계획”이라며 “이 조직을 통해서 의료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정책들을 설명하려 한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 정당들이 대선 후보를 선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걸릴 것 같다”고 전했다.
대한약사회 또한 정책기획단을 중심으로 약사 현안들을 건의할 계획이다.
약사회 관계자는 “한약사와의 갈등 해결을 위한 입법 요구나, 의약품 수급 불균형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건의할 생각”이라며 “조만간 정책기획단을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비대면 진료나 보건의료데이터와 관련한 정책들도 공약집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의료계 관게자 A씨는 “비대면 진료나 보건의료데이터 관련한 정책들은 모두 윤석열 대통령이 친산업적 입장을 가지고 접근했었다”며 “보건의료계에서 정부의 태도에 문제를 제기해왔었기 때문에,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책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