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학 후 수업 거부, 의대 마비 사태 2라운드
복지부, 수업 복귀 독려..현장에선.“정부가 먼저 정원 동결 확정해야”
[의약뉴스]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복학 후에도 수업을 거부, 의대 마비 사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에 따르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 가운데 상당수가 복학을 신청했다. 하지만 복학 후에도 수업에 들어오는 학생은 거의 없어 여전히 수업이 정상적인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가 수업 거부로 투쟁 방향을 바꾸겠다고 선언한 영향으로 보인다.
의대협은, 현재 의대 후 수업률이 3.9%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현장의 의대 교수들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이 많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의대교수 A씨는 “의대생들이 복학 신청을 했지만, 수업에 들어오지 않고 있다”며 “24학번과 25학번 모두 수업 참여율이 저조하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협에서 발표한 수준은 아니더라도 교실이 많이 빈 상태”라며 “이대로 가면 또 다시 대립으로 교육 현장이 마비될 수 있어 걱정스럽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보건복지부는 학생들에게 수업으로 돌아오길 바란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3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또다시 수업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있다는 보도가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의대생들은 아픈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가 되고자 했던 처음 마음을 되새기며 수업에 참여해 스스로 학습할 권리를 적극 행사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그러나 정부의 독려만으로는 의대 마비를 막기는 역부족이란 지적이다. 의대생들이 복학했으니, 교육부와 복지부가 약속했던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을 확정해야 한다는 것.
의대 교수 B씨는 “이대로 상황을 방치하면 의대 마비 사태가 다른 형태로 이어진다”며 “정부가 먼저 상황을 풀기 위해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3월에 학생들에게 약속했듯이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을 확정해야 한다”며 “정부가 먼저 약속을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야 학생들이 수업에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의대생들과 정부 사이에 무너진 신뢰를 회복해야 의대 마비 사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선 정부가 결단하고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