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한약재 유통 강화 로드맵 구상”
부족한 약재 직접 공급도 검토...“지나치게 비싼 한약재, 대체도 고려”
[의약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한약재 유통을 강화하기 위한 로드맵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식약처 한약정책과 윤태기 과장은 1일, 식약처 출입기자단과 기자간담회에서 한약재 품질 향상과 한약제제 안전성 강화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한약재 수급조절품목이 기존 70종에서 11종으로 줄어들면서 국내 한약재 생산량 감소 여러 문제가 발생해, 이를 해결할 방안을 찾고 있다는 것.
윤 과장은 ”한약재 수급조절품목이 70종에서 11종으로 줄어들면서 (수출이 늘어) 국산 한약재의 생산 기반이 무너졌다“고 전했다.
이에 ”식약처가 제주와 옥천, 양구에 설치한 생약자원센터를 활용해 국산 한약재 재배 가능성을 평가하고 보급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한약재와 관련한 공정서에 과도하거나 불명확한 기준을 정비하거나, 한약재 품질 기준이 국제 조화를 이루는지 등을 검토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 로드맵을 짜려 한다“고 밝혔다.
한약재 수입 개방으로 인해 발생한 수익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경제성 평가도 준비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윤 과장은 ”중국이 워낙 크고, 한약재 생산량이 많다보니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한약재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약자원센터와 복지부가 협력해 자체적으로 한약재 재배를 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생산량과 소비량이 너무 적어 품질 관리가 되지 않는 한약재의 규격을 만드는 것도 준비 중“이라며 ”우리나라에서 과거에는 생산됐지만, 지금은 재배가 되지 않는 한약재를 자체 공급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존 한약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생약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윤 과장은 ”우황이나 산조인 같은 경우는 지나치게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생약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면서 ”기존에 수입이 안 되던 한약재나 다른 한약재로 대체할 수 있는지 등을 연구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천연물 안전관리원 같은 시설도 설치하기 위해 약사법에 근거를 만드는 작업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