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학생 복귀 현실화, 불씨는 여전
서울대, 연세대, 부산대 등 복귀 결정 이어져...“교육권 보장 방안 찾아야”
[의약뉴스] 정부와 대학에서 마지노선으로 설정한 3월 마지막 날을 앞두고 의대 휴학생들이 연이어 복귀를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복귀 후에도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천명하고 있어, 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정부와 학교가 학생들의 교육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최근 연세대와 서울대, 부산대 등 다수의 의대 학생회가 회의를 거쳐 동맹 휴학을 멈추고 복학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제시했던 3월 내 복귀가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의대생들의 복학을 의정갈등의 마무리 단계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다.
다수의 학생회가 등록 이후에도 휴학 및 수업 거부 투쟁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의료계 관계자 A씨는 “의대생들이 복학을 결정한 이유는 정부와 대학의 위협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며 “학칙에 따라서 제적 처분을 내리겠다고 경고했기 때문에 학생들이 동맹 휴학을 이어가긴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학생들이 등록 후 수업 거부나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라며 “복학 이후에도 의대 내부에서 대립과 갈등이 이어질 수 있어 걱정스럽다”고 전했다.
학생들이 복학을 결정했으니, 이제는 정부와 대학에서 의대생들이 제대로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의료계 관계자 B씨는 “학생들이 복학해도 의대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라며 “정부가 여러 계획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 있는 전문가들이 볼 때는 모두 현실성이 떨어지는 대책들”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학생들이 돌아왔으니, 어떻게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계획을 보여줘야 한다”며 “수도권은 정원의 두 배, 지방은 세 배 이상의 학생을 교육해야 하는 상황을 풀 해법을 내놓지 않으면, 결국 학생만 피해를 보게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의대가 제대로 된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면 학생들이 다시 집단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지적이다.
A씨는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왔다고 해서 정부와 의대가 긴장을 풀어선 안 된다”며 “학생들이 돌아왔지만,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지면 다시 집단행동을 고민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정부 차원에서 대안을 빨리 제시하고, 이 사태를 책임져야 할 사람들은 빨리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다시 혼란스러운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