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희 약사회,비대위 필요성 평가 엇갈려
최광훈 회장 시절, 초장기 비대위 운영...“이번 집행부에선 고려하지 않을 듯”
[의약뉴스]
다이소 건강기능식품 판매 논란부터 다양한 약사 현안이 밀려드는 상황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 필요성을 두고 약사들의 의견이 엇갈렸다.
지난 11일부터 새 대한약사회 집행부가 출범한 이후로 다양한 약사 현안이 발생하고 있다. 화상투약기 규제샌드박스 확대 논의가 오는 26일 진행될 예정이며, 의정갈등 상황이 정리된 이후에는 비대면 진료와 약 배달,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 등 약사사회가 반대하는 정책들이 주요 현안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약사들은 약사회를 중심으로 비상 기구를 조직해 상황을 돌파하는 방향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최광훈 집행부가 출범 이후 여러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를 조직해 자문기구처럼 활용했던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약사 A씨는 “지난 최광훈 집행부에서는 비대위를 구성해 회장이 혼자 현안을 돌파하기 위한 결단을 하지 않고, 함께 소통하며 문제를 풀어갔다”며 “이 과정에서 대한약사회가 혼자 풀기 어려운 문제들은 지역약사회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팀플레이도 비대위를 통해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어 “최광훈 집행부가 꾸준한 의견 교류를 토대로 현안들을 잘 풀어갔던 점을 참고하면, 새 집행부도 동시에 밀려드는 현안을 처리하기 위해 비대위와 같은 기구를 설치하는 방법도 고려하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비대위가 아니라 대한약사회장 중심으로 빠른 의사 결정을 토대로 현안을 돌파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투쟁 기구의 성격이 강한 비대위를 자문기구로 활용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지적도 함께 나왔다.
약사 B씨는 “지난 집행부에서 비대위를 자문기구처럼 활용했지만, 어떤 논의가 오갔는지 공개적으로 알려지지 않아 약사들은 비대위의 존재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는 일이 있었다”며 “투쟁기구이자 적은 과제를 집중해서 다뤄야 하는 비대위를 자문기구로 활용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위를 자문기구로 활용하면 오히려 집중도가 떨어져서 의사 결정이 늦어진다”며 “대한약사회장 중심으로 문제를 풀 방법을 고민해야 하고, 의견 교류는 지부장 회의나 상임이사회 등 정규 조직을 활용해서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반론했다.
이처럼 비대위 구성 필요성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새 집행부에서 비대위를 구성할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도 나왔다.
권영희 회장이 그동안 행동력과 현안 해결 능력을 증명하겠다고 강조했었기 때문에, 직접 정면 돌파에 나설 수 있다는 것.
약사 C씨는 “현안이 몰려드는 상황에서 주제에 따라 원 포인트 비대위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권영희 회장이 그런 결정을 하진 않을 것 같다”며 “권 회장이 직접 선봉장이 돼 현안 돌파를 위해 나서는 것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기 떄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권 회장이 혼자 풀기 어려운 현안이 다가오면 비대위가 급하게 꾸려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