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 “이대로는 의대생 복귀 어렵다”

3월 말 복귀에 부정적 전망...“교육부가 현실적인 교육 정상화 방안 내놔야”

2025-03-19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의과대학 교수들이 현 상태가 유지된다면 학교를 떠난 의대생들이 복귀하기는 어렵다고 전망을 내놨다.

앞서 교육부는 오는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면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지난 2024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혔다.

▲ 의대 교수들은 이대로라면 의대생들이 학교로 복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의대생들의 교육을 위해 의대협회가 제안한 ▲2024ㆍ2025학번 동시졸업 ▲2024학번 1~2학년 과정 재설계로 24,25학번 순차 졸업 ▲24학번이 25학번보다 한 학기 먼저 졸업 ▲2024학번의 4~6학년 과정 재설계 등의 안을 수용, 이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의대생들이 3월 말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2026년도 정원은 5058명으로 확정한다고 단서를 달았다.

교육부가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으로 정한 3월 말까지 2주도 채 남지 않았지만, 의대생들의 복귀는 미진한 상황이다.

의대 교수들은 정부가 교육 현장에 맞지 않는 대책을 발표해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는 것이라 진단했다.

이미 2024년ㆍ2025학년도에 입학한 학생들로 인해 기존 정원의 3~4배 이상이 의대 교육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책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

의대 교수 A씨는 “이미 의대 증원이 진행돼 일부 학교는 기존 학생의 약 400% 이상이 수업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며 “시설과 교수 수가 많은 서울지역 의대에서도 어려움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지방 의대들은 교육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양질의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 여건을 선진국 수준에 맞춰야 한다”며 “교육부는 의대 교수 한 명이 학생 8명을 가르칠 수 있다고 하지만, 이는 미국의 교수 1인 당 0.5명, 일본의 1.3명과 상당한 차이”라고 지적했다.

심지어 “대한민국에서 교수 한 명이 8명의 학생을 가르치는 곳은 없으며, 탄자니아가 교수 1명이 8명의 학생을 교육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선진 의료 교육을 지향하던 의대 교수와 학생들이 교육부 대책으로는 학습권을 확보할 수 없다고 반발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교육부와 대학들이 학생들에게 특혜를 베풀 듯 의대 증원 철회를 말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증원된 인원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을 내놓을 때라는 것.

의대 교수 B씨는 “교육부가 엄벌을 예고하며 동시에 정원 동결을 말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을 회유하려 하지만, 의대생들이 이에 반응하지 않고 있다”며 “교육부가 생각하는 진짜 대책을 꺼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재정을 지원하겠다고 하지만, 예산이 들어온다고 교수가 3배로 늘어나거나, 교육 공간이 2배로 늘어나지 않는다”며 “교육부가 전담 조직까지 신설하며 준비한 진짜 대책을 꺼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교육 대책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법이 바뀌고, 제적을 말해도 학생들은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며 “진실성 있는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