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김택우 “전공의 수련ㆍ교육 개선 위해 독립적 수평위 필요”
의학회 기고...“정부 그늘 벗어나 의료계가 교육ㆍ수련 평가ㆍ관리해야”
[의약뉴스] 전공의 수련ㆍ교육 개선 위해선 정부의 그늘에서 벗어나, 의료계가 교육ㆍ수련 평가를 관리해야하고, 이를 위해선 독립적인 수평위가 구성돼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은 최근 대한의학회 E-뉴스레터에 수련환경 정상화를 위해 전 의료계가 힘 모아야라는 기고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현재 대한민국은 의료대란으로 인해 전공의와 전임의들이 이탈하면서 교육과 수련이 중단됐고,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붕괴로 이어져 의료계 전반을 벼랑 끝으로 내몰게 됐다”며 “개혁이 아닌 개악이자 농단의 대상으로 의료는 철저히 짓밟혔다”고 말했다.
이어 “의협 집행부는 무너진 교육현장을 어떻게든 재건하고 정상화하는 게 현 사태의 해법이라고 보고 정부에 결자해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실정만 연발하는 정부의 그늘에서 벗어나 의료계의 주도하에 수련평가 및 병원 질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단순한 제도 개선을 넘어, 의료계가 스스로 자율성을 확보하고 안정성을 찾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라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이다.
김 회장은 “현재 국내 수련평가 체계는 여러 기관이 개입하면서 평가 기준이 일관되지 못한 경우가 많고, 전공의 개개인의 역량 강화보다는 병원의 운영 방식에 초점이 맞춰지는 경우가 많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협과 대한의학회 및 여러 의학교육 관련단체가 함께하는 새로운 수련환경평가위원회를 출범시켜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독립적인 수평위가 꾸려지면 교육 및 임상현장에 다년간 몸담았던 전문가들이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정립할 수 있다”며 “전공의들에게 공정하고 체계적인 수련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수평위는 단순한 평가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 시스템을 도입해 수련병원의 교육환경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실제 전공의들의 의견을 반영, 개선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병원마다 수련환경의 질적 차이가 큰 만큼, 표준화된 평가 기준을 적용하면서도 각 병원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회장은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의학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호소했다.
그는 “의학회는 전공의들을 위한 다양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전공의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교육프로그램들이 안정적으로 운영이 된 이후에는 각 병원들의 수련 질 관리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의협은 의학회의 정책 파트너로서 앞으로 정부 및 국회를 대상으로 의학교육과 관련된 정책적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각 병원 및 유관단체와 협력하여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표준화된 수련 평가체계 및 교육프로그램 마련과 수련병원 질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결국 의학계와 의료계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