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성금 두고 ‘약사회-마퇴본부’ 입장 차 여전

마퇴본부, 성금 환급 건의...약사회 “약사단체 정체성 위해 필요해”

2025-02-26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에 모이는 약사 성금을 두고 약사회와 마퇴본부가 서로 다른 의견을 내고 있다.

지난해 마퇴본부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기타 공공기관으로 전환된 이후 단체의 정체성 문제는 꾸준히 지역 약사사회에서 논쟁거리였다.

그러던 와중에 25일 열린 서울시약사회 정기총회에서도 관련 논쟁이 벌어졌다. 지역 약사들의 성금을 지역 마퇴본부에서 환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다.

▲ 마퇴본부에 전달되는 약사 성금을 두고 약사회와 마퇴본부가 다른 생각을 밝혔다.

한 마퇴본부 관계자는 지역 마퇴본부에 약사들의 성금이 전달되지만, 이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회원들에게 환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거에는 약사들의 성금으로 지역 마퇴본부 직원들의 인건비와 지역 사무소 유지비 등을 지불했지만, 마퇴본부가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된 이후에는 모든 비용을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약사들의 성금으로 마퇴본부가 직원들 급여를 지급하고, 사무실 비용 등을 냈었다”며 “하지만 이제는 정부에서 인건비 등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성금이 의미가 없는 상황이 됐다”며 “마퇴본부가 정부 지원 예산 이외의 돈인 성금을 사용하려면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사업을 달성해야만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동안 사업 현황으로 볼 때는 사업 100% 달성이 어렵고, 성금을 제대로 쓰기 어렵다”며 “이제는 회원들에게 돈을 돌려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약사회 권영희 당선인은 이러한 의견은 마퇴본부와 약사회의 연결고리를 끊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권 당선인은 “마퇴본부가 중앙정부 예산을 중심으로만 운영하면 약사회의 마퇴본부 이사장 추천권도 사라지고, 약사회와 연결고리가 끊어진다”며 “마퇴본부에 대한 약사회의 역사와 권한 등을 지켜나라겨면 성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가 식약처 고위관계자들과 만나서 협의를 하고 있지만, 약사 성금이 사라지면 약사회가 의견을 낼 근거가 사라진다”며 “쓸 수 없는 성금을 마퇴본부에서 갖고 있겠다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쓸 방법을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마퇴본부에 전달되는 약사 성금을 두고 의견이 엇갈린 상황에서 서울시약사회 회원들은 1년 동안의 유예기간을 갖고 상황을 지켜보기로 한 뒤 논쟁을 마무리했다.

이처럼 약사사회 내부에서 약사회와 마퇴본부의 연관성을 두고 논쟁이 계속 일어나는 가운데, 예산만이 아니라 교육 주도권을 고민해야 할 때라는 의견도 나왔다.

약사 A씨는 “마퇴본부는 약사회를 중심으로 약사들이 만든 단체이기 때문에 상징성이 매우 큰 조직”이라며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고, 기타공공기관으로 조직의 성격이 변했으니 이에 맞춰서 새로운 고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성금을 토대로 한 자체 사업 진행 문제도 중요하지만, 더 주목해야 할 부분은 교육과 관련된 사항이라고 생각한다”며 “약사가 아닌 사람들도 마약퇴치 교육을 할 수 있는 현 시점에서 유사 마약류, 향정신성 의약품 등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약사들이 교육의 주도권을 가져올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성금이 없으면 약사회의 마퇴본부 이사장 추천권을 잃을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지점이지만, 교육과 관련해서 약사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며 “약사의 역할이 줄면 마퇴본부와 약사사회와의 연결고리가 더 빨리 끊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