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의대 개학 대안 없는 정부, 결단 필요"
휴학생 복학여부 미지수...“논의가 아니라 결정할 때”
[의약뉴스] 의과대학이 개학 시즌에 돌입한 가운데, 현장에서는 여전히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휴학생들이 여전히 복학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도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자칫 의대 교육이 2년 연속 마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2025학년도 1학기 개학을 앞둔 의과대학들 가운데 상당수가 아직까지 개강 시점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휴학한 학생들이 대부분 복학하지 않고 휴학을 이어가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교육부는 관계 부처와 협의하며 현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나, 통합학기제 도입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주호 부총리가 국회에서 밝혔던 것처럼 복지부와 관계 부처에서 의대 정원 등을 주고 협의하는 상황을 보고 있다”며 “통합학기제는 아직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의료계에서는 정부의 빠른 결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26년도 정원을 빠르게 정리해야 한다는 것.
의료계 관계자 A씨는 “대학에서 먼저 의대 개학 시기를 결정해야 하겠지만, 학생들의 복귀 여부도 지켜봐야 한다”며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중요 변수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복지부가 오는 4월까지 의대 정원을 결정하겠다고 했으니, 그때까지 바뀌는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여름방학을 줄이는 방식으로 4월까지 미룰 수는 있겠지만, 학사일정이 지나치게 촘촘하면 교육 현장에서 어려움을 호소할 수 있다”며 “최대한 빨리 결정해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가 논의만 지속할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교육 대책을 제시해야 의대생들이 거취를 결정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의료계 관계자 B씨는 “의대교육은 도제식 교육이라는 특수성이 강하다”며 “공부해야 할 분량이 너무 많아 선후배가 서로 도와야만 제대로 교육을 할 수 있어 일부 의대생이 돌아오더라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유화책을 내놓거나 강경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지만, 아무 효과가 없었다”며 “정부가 상황을 반복하지 말고, 결단을 내려서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당장 교육이 되지 않는 상황이 심각하다”며 “정부가 협상안을 내놓거나, 의료계를 설득해서 교육을 정상화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치권 상황이 크게 변하고 있어 정부 정책의 연속성이 없을 수도 있어 걱정”이라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최대한 빨리 상황을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