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직 전공의 군복무 논란에 "상황에 맞게 대처"

현역 미선발자 분류...의료계 “입영 시점 선택 가능하게 해야”

2025-02-20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사직 전공의들을 현역 선발자로 분류,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국방부가 상황에 맞춰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입대 대상자가 늘어 이를 다 수용할 수 없는 만큼, 상황에 따라 필요한 인원을 선발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지난 1월, 의무장교 선발대상자가 현역 군소요를 초과할 때 공개 전산분류를 통해 현역 또는 당해연도 현역 미선발자로 분류하는 내용의 의무장교 선발 훈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 사직 전공의 입대 문제에 대해 국방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 가운데 일부는 군의관으로 입대하지 못하고, 현역 미선발자로 분류되며, 입영 시점도 예상할 수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4년 이상 입영 대기 상태로 분류될 수도 있다는 것.

이에 사직 전공의 100여명은 국방부의 훈령 개정안이 기본권 침해라며 국방부 앞 집회를 예고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올해 입대해야 할 대상이 많이 늘었다"며 ”군이 적절한 기준과 선발 상황에 따라 판단하고 필요한 인원을 선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입대 대상이 많고, 국방부가 그 인원을 다 수용할 수 없어 일부 인원은 선발이 안 될 수 있다“면서 ”선발되지 않는 인원이 몇 년을 대기해야 할지 정해진 것은 없으며, 여러 상황이 달라지면 선발 기준도 달라질 수 있어 두고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공보의 등 보충역 인원을 늘리는 부분도 병무청과도 협의해야 할 사안이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의료계는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전공의들이 복귀하더라도 수련 중에 군의관으로 입대할 수 있다는 것.

의료계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자신의 인생을 설계할 수 없어 반발하는 것“이라며 ”언제 입대할지 알 수 없는 상태로 방치하면 전공의들은 아무런 일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입대 시점이 정해지지 않아 자칫하면 수련 교육을 받던 중에 군의관으로 입영해야 할 수도 있다“며 ”전공의들이 현역 혹은 공보의로 지원할 수 있는 시점을 스스로 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는 방안도 생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병역 문제도 결국 의정갈등으로 발생한 만큼,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부터 풀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가 제시한 입영 특례도 별다른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군의관 입대 문제도 결국 의정갈등으로 인해 많은 수의 전공의가 갑자기 현장을 이탈해 발생한 일“이라며 ”국방부의 입장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가 근본적인 문제를 풀지 않고 단편적으로 병역 특례 등을 제시하니 일이 더 꼬이고 있다“며 ”정부가 의료계와 의정갈등 상황을 풀기 위해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전체적으로 꼬인 상황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