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예기간 1년, 개국약사 대상 ‘전문약사’ 미궁 속으로

약사회ㆍ복지부 실무자 교체로 논의 지연...“이대로면 내년 수련 시작 어렵다”

2025-01-21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개국약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약사 제도 시행을 1년 앞두고 준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23년, 전문약사 제도를 시행했다. 전문약사제도 시행에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역 개국약사들을 위한 과목인 통합약물관리를 신설했고, 이 과목에만 3년의 유예기간을 부여했다.

▲ 개국약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약사 과목인 통합약물관리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약사회는 지난 2023년부터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 수련 체계를 만들기 위해 준비 작업을 시작했고, 지난 2024년 2월에는 연구용역도 시작했다.

하지만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 제도 시행 1년을 앞둔 지금까지 구체적인 지침이 나오지 않았다.

약사회는 지난해 진행했던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복지부와 소통하며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 양성을 위한 제도 마련을 노력했지만, 실무자가 모두 바뀌어 재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지난해 연구용역을 진행했고, 거기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약사회 상임이사회에서 설명회도 열었었다”며 “이 자리에 복지부 관계자도 참석해 기초적인 소통을 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약사회도 집행부가 바뀌고, 복지부도 약무정책과장이 바뀌어 다시 논의해야 한다”며 “새 약사회 집행부와 새 약무정책과장이 올해 안에 정리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수련을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대로라면 내년에 지역 개국약사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약사 수련을 시작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왔다.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로서 지역 주민들에게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약국 내 상담 공간 배치, 상담 프로그램ㆍ전문 교육 프로그램 마련 등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이 중 어느 것도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늦어도 올해 상반기까지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전문약사 자격 취득을 희망하는 지역 개국약사들에게 지침을 전달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다.

약사 A씨는 “이대로 가면 내년부터 지역약국에서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 수련을 할 수 없다”며 “수련교육기관을 어디로 선정할 것인지, 교육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될지 논의가 하나도 안 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개국약사들이 전문약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상담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지침도 아직 없다”며 “약국들이 준비하려면 적어도 1년은 필요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미 늦었다”고 비판했다.

새로 출범하는 권영희 집행부가 지역 개국약사 전문약사 수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빠른 행동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새 집행부가 복지부와 협의를 진행해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 육성에 대한 사항을 정리하지 못하면, 지역 약사들이 전문약사 자격을 취득할 길이 사라질 수 있다는 것.

약사 B씨는 “현재 인수인계 중인 권영희 집행부가 빨리 업무 파악을 마치고 복지부와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이대로 내년에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 제도가 시행되면 제도의 미비로 지역약사들이 전문약사 자격을 취득할 길이 닫힐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회가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을 최대한 빨리 만들어서 정부에 제안을 하는 등의 활동을 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통합약물관리 전문약사 배출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