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휴 대책에 약국가 “쓸 약이 없어 더 문제”
정부ㆍ여당, 연휴 대비 당정회의 개최...“장기적 대책도 내놔야”
[의약뉴스] 정부가 오는 25일부터 시작하는 설 연휴를 앞두고 호흡기 환자 관리 대책을 발표했지만 현장에서는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16일, 국회에서 설 명절 응급의료체계 및 호흡기 감염병 확산 점검 관련 당정협의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와 여당은 연휴 동안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가산하고 ▲응급의료행위 수가를 인상하며 ▲문 여는 병원 및 약국을 최대한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처럼 정부와 여당이 연휴 기간 호흡기 질환을 앓는 환자들을 위한 대책을 내놨지만, 일선 약사들은 부족한 대책이라고 평가했다.
의원과 약국 문을 열고 환자들을 진료할 수 있도록 한 부분은 긍정적이지만, 환자들에게 처방할 의약품이 부족한 상황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와 여당이 타미플루 등 독감 치료제 재고와 물량을 모니터링하고, 정부 비축분을 점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 정도 대책으로는 부족하다는 것.
약사 A씨는 “정부와 여당이 연휴 기간에 환자들이 갈 병원과 약국이 없어 방황하지 않도록 대책을 내놓은 부분은 잘했다고 본다”며 “하지만 현장의 진짜 문제를 조명하지 못한 부분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물량을 점검하겠다고 했지만,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며 “제약사에 의약품 생산을 독려하거나, 수입 물량을 늘리는 등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선 현장에서 유동적으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정책적 해결책도 내놔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의약품 재고 현항에 따라 의료기관과 약국이 협력해 자율적으로 대체조제를 할 수 있도록 한시적 대체조제 사후 통보 간소화 조치나, 한시적 성분명 처방 허용 등의 정책적 조치를 병행해야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약사 B씨는 “정부가 내놓는 거시적인 대책만으로는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히기는 어렵다”며 “현장에서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정책적 대책을 내놓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성분명 처방이나 대체조제 간소화 같은 정책을 한시적으로 도입해 현장에서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방법”이라며 “현장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연휴를 앞두고 반복적으로 대책을 발표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 대응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미 질병청에서 여러차례 호흡기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대책은 너무 늦었다는 것.
A씨는 “호흡기 질환 환자가 갑자기 증가한 것이 아니라, 지난 12월부터 계속 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며 “정부가 이에 즉각 대응하지 않고, 연휴를 앞두고서야 대책을 내놓는 것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휴를 앞두고 대책을 내놓지 말고, 장기적으로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며 “질병청에서 이상 동향이 감지되면 바로 의약품 수급 현황을 파악해 선제적 대책을 내놔야 주먹구구식 대응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