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대란 해결 위해 국회ㆍ의료계ㆍ장관 참여 토론회 추진
"빠른 시일 내 추진"...의료계, 사태 해결 가능성엔 회의적
[의약뉴스] 국회와 의료계가 10개월 넘게 장기화 되고 있는 의료대란을 해결하고자 복지부와 교육부 장관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박형욱 위원장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박단 위원장은 19일 의협회관에서 국회 김영호 교육위원장(더불어민주당)과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을 만나 의료대란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들은 1시간 20분 동안 회의를 진행, 현재의 의료대란이 의대증원 등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발생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적극 소통하기로 했다.
회의 직후 박주민 위원장은 “무엇보다 의료대란 장기화를 해소하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리였다”며 “정부의 일방적 정책 추진의 부작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의료현장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한 문제해결이 필요하다는 점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실상 제대로 된 의료교육이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는 애기를 나눴다”며 “이에 의대 교수, 학장, 전공의, 의대생, 교육부, 복지부, 국회 등이 참여하는 공개 토론회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다만, 박 위원장은 2025학년도 의대증원 철회나 정책 전면 백지화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 합의가 없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백지화와 같은 얘기까지 합의된 것은 아니지만 열어놓고 생각하자는 것”이라며 “오는 24일 민주당 보건의료특위가 개최하는 국회 토론회도 당의 공식적인 논의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김영호 위원장은 조속한 시일 내에 토론회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장관에게 토론회 출석이 가능한지 타진해 보고 가능하다면 최대한 빠른시간 내에 개최하려 한다”며 “의료현장에선 무엇이 문제인지 신랄히 말하고, 정부의 답변 과정에서 지혜를 모으면 2025년 의대정원 문제에 대해 혹시라도 해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서도 토론회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지만, 의료사태 해결 가능성에 대해선 회의적인 모습이었다.
박형욱 위원장은 “의학교육과 의료대란 위기에 대해 같이 논의하는 과정을 마련해 준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 정책이 장기적으로 부작용이 많을텐데 문제를 일으킨 관련자는 나중에 자리에 없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럼 나머지 사람들이 현장에서 계속 고통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단 위원장도 “개인적으로 사태 해결이 쉽지 않아 보인다”며 “방법을 찾아가겠지만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