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바이오파마, 베르니에스테틱스와 전략적 투자 협약 外

2024-11-28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휴온스바이오파마, 베르니에스테틱스와 전략적 투자 협약

▲ 휴온스바이오파마는 지난 27일 판교 사옥에서 베르니에스테틱스와 전략적 투자 협약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휴온스바이오파마(대표이사 김영목)는 지난 27일 판교 사옥에서 베르니에스테틱스와 전략적 투자 협약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베르니에스테틱스는 피부과 전문의들의 투자로 시작된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지방분해를 위한 ‘미라클주사’ MRC101을 개발 중이며, 현재 임상 2a상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에스테틱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휴온스바이오파마는 투자를 통해 MRC101의 판권 및 제조권을 확보한다. 

현재 주력 제품인 보툴리눔 톡신 외에 새로운 에스테틱 제품을 확보하며 라인업을 다각화하겠다는 목표다. 양사는 향후MRC101의 후속 파이프라인의 공동 개발에도 협력할 계획이다. 

휴온스바이오파마 김영목 대표는 “이번 투자는 유망한 에스테틱 라인업을 확보해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며 “베르니에스테틱스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 연구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르니에스테틱스 강시하 대표는 “적극적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전개하는 휴온스그룹과 함께 MRC101의 가치를 높여 나가겠다"며 "앞으로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C지놈, 헝가리 진단검사실  WhiteLab 계약
GC지놈(대표 기창석)은 헝가리 소재 진단검사실 ‘WhiteLab Health Stations Kft.’사와 신규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GC지놈은 이번 계약을 발판으로 동유럽 사업 확장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사측에 따르면, GC지놈과 계약을 맺은 WhiteLab은 헝가리 전역 30여 개의 검사소를 운영하며 혈액 검사, 호르몬 검사, 미생물 검사 등 다양한 임상 검사를 제공하는 진단검사 기관이다. 

병원 대상 B2B 모델과 고객 대상 DTC(소비자대상직접시행) 모델을 병행 운영하며, 홈 서비스 및 다국어 검사 결과지 제공 등으로 내국인과 인접 국가 의료 관광객 등 폭넓은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GC지놈은 이번 계약을 통해 ▲G-NIPT ▲아이스크린(i-screen) ▲그린바이옴 Gut(greenbiome GUT) 등 다양한 유전자검사 서비스를 헝가리에 공급한다. 

GC지놈은 WhiteLab의 탄탄한 산부인과 네트워크와 현지 의료진에게 긍정적 평가를 받은 파일럿 시행 결과를 바탕으로, 헝가리 시장 내 G-NIPT 검사 점유율을 빠르게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GC지놈 기창석 대표는 “WhiteLab사와의 계약을 통해 헝가리 시장 수요에 맞는 G-NIPT 검사 등 자사의 혁신적인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기쁘다”며 “본 협력을 발판으로 동유럽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 가능성을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신신제약 이우영 부사장, 한국약제학회 생산기술공로상 수상

▲ 신신제약은 지난 27일 서울 더케이 호텔에서 열린 2024년 한국약제학회 국제 학술 대회에서 이우영 부사장이 생산기술공로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신신제약은 지난 27일 서울 더케이 호텔에서 열린 2024년 한국약제학회 국제 학술 대회에서 이우영 부사장이 생산기술공로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생산기술공로상은 한국약제학회가 생산 기술 향상을 통해 제약산업 발전에 공로가 많은 개인 또는 단체를 선정해 수여하는 상으로, 지난 2000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올해는 신신제약 이우영 부사장이 한국오츠카제약 김철회 상무이사 공장장,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방준재 팀장과 함께 수상자로 선정됐다.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분야 전문가인 이우영 부사장은 국내 최초 고밀착 하이드로겔 카타플라스마 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국내 제약 산업의 생산 기술을 향상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는 기존 카타플라스마 제제와 달리 별도의 밀착포 없이 사용하여 발적, 발진 등 피부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라운딩 커팅과 배면 커팅으로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은 일반의약품 신신파스 플렉스 시리즈로 제품화되어 약국에서 판매 중에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폼 에어로졸인 탈모치료제 국산화에 성공하고, 난용성 약물인 이부프로펜과 피록시캄의 결정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국내 최초로 첩부제를 생산 발매,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한 공적을 세웠다.

최근에는 패치형 과민성 방광 치료제 임상 3상 및 세계 최초 패치형 불면증 치료제의 임상 1상 진입을 통해 국내 특허 등록은 물론 유럽과 중국에도 특허 등록을 완료하는 등 패치 제제의 산업 발전에도 기여했다. 

그는 성균관대 약학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일리노이 주립대에서 포스트닥(Post-Doc) 과정을 이수한 후 중외제약, 명문제약을 거쳐 2015년 신신제약에 입사했다. 

현재 신신제약 중앙연구소의 연구소장으로서 마이크로니들 기술 및 패치 제제 등의 연구를 선도하며 경피약물전달시스템 분야 전문가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신신제약 이우영 부사장은 “이번 수상을 통해 제약산업에서 신신제약이 이룬 탁월한 성과와 노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됨에 따라 마이크로니들 등 복약 편의성이 높은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빠른 제품화 성공을 위해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유영제약, 진천군 기업인의 날 일자리 창출 대상 수상

▲ 유영제약은 27일 진천상공회의소가 주관한 ‘제8회 진천군 기업인의 날’ 행사에서 지역사회 고용 창출과 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자리 창출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유영제약(대표 유주평)은 27일 진천상공회의소가 주관한 ‘제8회 진천군 기업인의 날’ 행사에서 지역사회 고용 창출과 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자리 창출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사측에 따르면, 이번 수상은 청년 신규 고용 확대와 장애인 고용 실적 등 다양한 일자리 창출 성과를 통해 이루어진 결과로, 유영제약은 최근 2년간 정규직 채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지역 내 고용 안정에 크게 기여해 왔다.

유영제약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서 청년과 취약 계층의 고용 기회를 더욱 넓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진천군은 매년 기업인의 날을 통해 우수 기업을 선정하여 지역 발전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기업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있다.

한편, 유영제약은 지난 9월에도 사회적 가치 실현과 나눔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 국가공헌대상’에서 ESG 경영부문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