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 생존대안 전문ㆍ개방ㆍ요양ㆍ백화점

대학병원 등과 경쟁 넘어야 할 첩첩산중

2006-07-07     의약뉴스 권정은 기자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병원이 생존하기 위해 발버둥치고 있는데 반해 관할부서인 복지부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 못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현재 중소병원은 정부 정책방향의 변화, 전문의 부족, 수가 불균형, 환자 감소 등의 문제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중소병원협의회 김정덕 사무국장은 6일 의약뉴스와 전화인터뷰에서 중소병원의 생존을 위한 방법으로 전문병원, 개방병원, 요양병원, 백화점식 병원 등 네 가지 모델과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경쟁력 있는 전문병원이 되기 위해서는 수가기준 확립과 전문인력 장비 등 준비가 필요하다.  현재 전문병원 제도는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과 함께 21개 병원에서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다.

둘째, 개방병원 제도로 개원의와의 협력을 통해 비용절감과 인력난 해소해야 한다. 그러나 이마저도 의료 수가체계의 모순으로  병원 경영에 부담이되고 개원의와 갈등을 해소하는 상생(win-win)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요양병원제인데  고령화 사회로 변모함에 따라 노인시장을 겨냥해 만성질병과 급성질병을 차별 적용하는 노인수발보험제가 2008년 7월에 도입된다. 하지만 수발제도가 병원들에게 봉쇄되어 있어 의료와 복지의 복합체가 필요하다.

넷째, 백화점식 병원으로 기존의 종합병원 체제를 갖춘 지역사회 중심 병원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대학병원과 경쟁을 위해 취약부분을 파악하는 차별화 전략이 미흡하다. 

그는  “중소병원이 지금의 난관을 타계하기 위해서는 네 가지 특화된 병원 중에서 경영환경과 지역성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경쟁력을 갖추는 길이다”며 “정부의 현실적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한 관계자는 “현재 전문병원을 시범 운영 중인데 별다른 문제는 없고  환자들도 대체로 만족했다”며 “전문병원과 개방병원이 현재까지는 대안인 것 같다”고 조심스럽게 얘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