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처한 응급의료, 개혁 아닌 꾸준한 개선 필요”
고려대 안암병원 이성우 교수...“중증도, 경증 환자에 대한 역할 구체화해야”
[의약뉴스] 응급실과밀화 등 응급의료에 닥친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선 개혁이 아닌 꾸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무엇보다 중증도 경증 응급환자에 대한 제도가 미비한 만큼, 이를 제도화해 종별 응급의료기관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의사협회는 10일 온라인으로 ‘제41차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고려안암병원 이성우 교수는 ‘응급의료 전달체계: 문제와 해법’이란 강의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지난 수십년간 우리나라는 응급실 문제를 겪어왔는데, 가장 큰 문제는 응급실 과밀화와 응급의학/필수협진의사의 부족”이라며 “이러한 문제는 지역응급의료기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지역 응급의료 위기라는 표현이 사용된다”고 말했다.
이어 “119나 1ㆍ2차 병원에서 응급실로 전원, 혹은 환자가 직접 내원하는 형식으로 응급의료를 이용한다”며 “입원이나 최종 치료가 필요한 경우 의료전달체계 내에서 종별 기준에 따라 최종 치료를 제공하게 되고, 환자 중 경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경증회송을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경증회송에 대한 제도가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또 “제한된 응급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응급실 과밀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병원전 단계에서 자신의 중증도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응급의료기관에선 종별 역할에 맞는 응급환자에게 최종치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단계에선 적정 전원을 통해 지역사회 내 응급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며, 국가 단위에선 지역간 전원체계를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응급진료 후 대부분의 환자들이 귀가하게 되는데 이 환자들을 최종치료해야할 지역응급의료기관의 환자 수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퇴원하는 환자를 중등도, 경증 응급환자라 분류했을 때 이들을 최종 치료해야할 지역응급의료기관은 2018년 340만명에서 지난해 270만명으로 이용 환자 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더해 이 교수는 의료대란으로 기존 응급의료 위기 상황에 또 다른 위기가 더해졌다고 우려했다.
그는 “응급의료의 위기에 대해 기존에는 환자쏠림과 입원대기가 큰 원인으로 판단, 응급의료기관 종별역할을 구체화하는 방안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했고, 앞으로도 이러한 전략은 필요하다고 본다”며 “그러나 현재 의ㆍ정갈등으로 인한 사태로 지금까지 안고 있는 문제에 더해 응급의학, 필수진료과 등 응급의료의사가 줄어들면서 응급의학과가 처음 생긴 30년 전으로 회귀하는 게 아닐지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에 이 교수는 응급의료 위기의 해법으로 ▲지역완결형 응급의료체계 구축 ▲필수응급의료의사에 대한 적정보상(지방 가중)을 제시했다.
그는 “개혁이 아닌 꾸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역특성과 지역응급의료자원을 고려해 지역 내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해야하고, 필수 응급의료의사(응급의학, 필수협진과)에 대한 적정 보상에 더해, 지방에는 가중 보상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의 역할로 ▲응급환자의 정의(중증-중등도-경증) ▲종별 응급의료기관의 역할을 명확/구체화 ▲응급의료 및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 ▲지역완결형 응급의료 ▲취약지역/취약응급질환에 대한 국가단위 응급의료망 ▲평가와 보상, 그리고 지원을, 종별응급의료기관의 역할로는 ▲응급실(의료기관)역량강화 ▲필수응급의료 의사 지원 ▲고품질 응급의료 제공 등을 제언했다.
이 교수는 “환자의 흐름을 조정해 적정한 전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가능한 지역 내에서 해소하도록 하면서, 그렇지 않으면 지역 간 연계를 통해 빈틈을 메꿔나가야 한다”며 “이러한 관리를 국가 단위에서 이뤄지도록 지역간 응급의료연계망을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