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택 회장 불신임 임총 앞두고 대의원 자격 공방

김교웅 의장 ”한가한 소리 할 때 아니다“...서울시의사회 비례대의원 논란 확산 경계

2024-11-07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의약뉴스]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가 임현택 회장의 불신임을 논의할 임시총회에 앞서 사직 전공의의 대의원 자격을 두고 소란스러운 분위기다.

논란이 된 인물이 전문의 자격을 취득, 전공의 몫으로 할당된 대의원 자격이 없다는 지적에 재선출로 논란을 잠재웠지만, 다른 전공의 대의원으로 논란이 확산되지는 않을지 경계하고 있는 것.

특히 일각에서 사직 전공의를 더이상 전공의로 볼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바 있어, 이번 임총에서 대의원 자격을 두고 다시 한 번 공방이 이어지지 않도록 대의원회가 사전에 선을 그었다.  사직 전공의라는 명칭 그대로, 이들 역시 전공의라는 해석이다.

▲ 의협 회장의 불신임 임총에 앞서 대의원 자격 논란이 일어났다.

의협 대의원회는 오는 10일, 임현택 회장의 불신임안과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안을 다룰 임시대의원총회를 개최한다.

그러나 회장 불신임이라는 민감한 안건을 다룰 임총에 앞서 대의원 자격두고 공방이 벌어졌다.

서울시의사회 전공의 특별분회 할당으로 당선된 대의원 중 1명이 전공의 신분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 것.

이 대의원은 지난 2월 사직한 전공의로, 이미 내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해 전공의 자격이 없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의사회에서는 대의원을 재선출하기로 했으며, 해당 대의원은 이번 임시총회에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려 논란을 일단락했다.

이와 관련, 의협 대의원회 관계자는 “의료대란으로 인해 전공의들이 수련병원을 다 떠나 이처럼 쓸데없는 자격 논란이 생긴 것”이라며 “이러한 논란이 발생되지 않으려면 현재 의료대란이 조속히 해결되고, 전공의들이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사직 전공의는 더이상 전공의 신분이 아니라는 일각의 주장도 일축했다. 의료대란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

김교웅 의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서울시의사회 비례대의원의 경우에는 전문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기에, 이번 총회엔 불참하고 다시 선출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지만, 사직 전공의들은 명칭 그대로 전공의이니 인정해줘야한다”며 “평상시라면 모르겠지만, 회장 불신임을 다루는 임총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사직했으니 전공의가 아니다라는 한가한 주장을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라고 일침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