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LC 2024] 로슈 디바라십, 티쏀트릭과 시너지 확인
치료 이력 많은 KRAS G12C 변이 폐암 환자 분석...객관적반응률 60% 상회
[의약뉴스] 로슈의 차세대 KRAS G12C 표적치료제 디바라십이 초기 임상에서 순항하고 있다.
9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계폐암학회 연례학술회의(WCLC 2024)에서는 두 건의 디바라십 초기 임상 결과가 공개됐다.
먼저 전신 치료 이력이 있거나 기존의 표준요법에 내약성이 없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KRAS G12C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으로 디바라십 단독요버븡ㄹ 평가하고 있는 용량 증량 및 용량 확장 연구의 추가 분석 결과에서는 유효성과 함께 장기간의 안전성도 확인했다.
용량 증량 27명, 용량 확장 38명 등 총 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이 연구에서 31명(48%)가 1년 이상 치료를 받았으며, 치료 유지기간(Time on Treatment) 중앙값은 11개월로 집계됐다.
안전성에 있어 용량을 제한하는 독성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은 17%에서 보고됐다.
이상반응으로 인해 디바라십 용량을 감량한 환자는 23%, 디바라십을 중단한 환자는 5%에서 발생했다.
1년 이상 치료를 받은 31명의 환자 가운데 54.8%가 1년 이후 새로운 이상반응을 보고했으나, 3~5 등급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새로운 이상반으로 디바라십 용량을 감량하거나 중단하는 사례는 없었다.
효능에 있어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전체 환자에서 55.6%, 400mg을 투약한 환자에서는 59.1%로 집계됐으며, 특히 400mg을 투약한 환자 중 3명에서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이 보고됐다.
또한 반응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 중앙값은 18.0개월과 14.0개월,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은 13.9개월과 15.3개월로 집계됐다.
디바라십은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 로슈)과도 시너지를 확인했다. 치료 이력이 많은 환자에서 40%, 환자에 따라서는 60%를 상회하는 반응률을 확인한 것.
티쎈트릭 병용 임싱은 용량 증량 9명(200mg 3명, 400mg 6명)과 용량 확장 30명(200mg 15명, 400mg 15명) 등 총 39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연구에 참여 한 환자 중 PD-L1 발현율이 1% 미만인 환자가 28%, 1~49%가 23%, 50% 이상은 28%를 차지했다.
또한 이전에 PD-1 또는 PD-L1 면역항암제를 투약했던 환자가 90%,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던 환자는 95%에 달했고, 다른 KRAS G12C 억제제를 투약한 환자도 28%가 포함됐다.
분석 시점에 치료 유지 기간 중앙값은 9.0개월로, 이 기간 안전성에 있어 이상반응 양상은 단일요법 임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치료 관련 이상반응으로 디바라십 용량을 감량한 환자가 23%, 중단한 환자는 3%, 티쎈트릭을 중단한 환자는 15%로 집계됐다.
디바라십에 대한 약동학 평가에서는 티쎈트릭 병용요법과 디바라십 단독요법간 차이가 없었다.
효능에 있어서는 이전에 KRAS G12C 표적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를 포함한 객관적반응률이 디바라십 모든 용량에서 42.1%, 400mg은 45.0%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200mg군과 400mg군에서 각각 1명의 완전반응이 보고됐다.
또한 이전에 KRAS G12C 표적치료제 투약 이력이 없는 환자에서 객관적 반응률은 모든 용량에서 55.6%, 400mg군에서는 61.5%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