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lC 2023] 텝메코, 아시아인에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효능
VISION 연구 하위분석...삶의 질도 유지
[의약뉴스 in 싱가포르] 머크의 MET 억제제 텝메코(성분명 테포티닙)가 아시아의 MET 14 결손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도 강력하고 지속적인 효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안명주 교수는 11일, 세계폐암학회 연례학술회의(WCLC 2023) 포스터 세션을 통해 MET 14 결손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텝메코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 VISION 연구의 아시아인에 대한 하위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VISION 연구 중 코호트 A와 C에 참여한 313명의 환자 가운데 아시아인은 106명(한국 20명, 일본 38명, 대만 12명, 중국 30명, 기타 6명)으로, 이 가운데 47.2%는 이전 치료 이력이 없는 환자들이었다.
분석 결과, 아시아인에서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56.6%(95% CI 46.6~66.2), 반응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 중앙값은 18.5개월(95% CI 10.4~NE)로, 전체 313명의 환자에서 보고된 51.4%, 18.0개월과 큰 차이가 없었다.(중앙 추적관찰 기간 32.6개월)
아시아인에서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은 13.8개월(95% CI 10.8~22.0),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 중앙값은 25.5개월(95% CI 19.3~36.4)로 집계됐다.
또한 텝메코는 아시아인에서 이전 치료 이력에 상관없이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효능을 보였다.
이전 치료 이력이 없는 환자에서는 객관적반응률이 64.0%(95% CI 49.2~77.1), 반응지속기간 중앙값이 20.7개월(95% CI 10.4~NE),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16.5개월(95% CI 9.6~49.7),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32.7개월(95% CI 16.3~NE)로 집계됐다.
이전 치료 이력이 있었던 환자에서는 객관적반으률이 50.0%(95% CI 36.3~63.7), 반응지속기간 중앙값은 10.8개월(95% CI 5.6~20.8),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12.1개월(95% CI 6.8~19.9),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23.7개월(95% CI 17.1~34.4)로 보고됐다.
삶의 질(HRQoL)은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며 이상반응 역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