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방문 캐나다 사절단, 글로벌 제조 역량 확인 外
◇한미약품 방문 캐나다 사절단, 글로벌 제조 역량 확인
한미약품의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방문한 해외 사절단이 최첨단 제조 설비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들은 글로벌 스탠다드를 충족한 평택 플랜트의 제조 역량과 개발 노하우를 확인하고 본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했다.
한미약품은 아투카(Atuka),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Genvira Biosciences), 아이프로젠(iProgen) 등 10개 제약바이오 업체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로 구성된 캐나다 사절단이 지난 9일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방문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절단 방문은 주한캐나다대사관 측이 ‘바이오 코리아(BIO KOREA 2023)’ 행사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 중 우수한 제조시설을 보유한 한미약품 사업장을 견학하고 싶다고 요청해 이뤄졌다.
한미약품과 캐나다 사절단은 이날 국내외 바이오산업 현황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공동 관심 분야에 대한 오픈 콜라보레이션(개방형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캐나다 사절단은 평택 플랜트의 첨단 대형 제조설비(최대 1만2500리터 규모 배양기)와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을 둘러본 뒤, 한미약품이 오랜 기간 축적한 R&D 역량을 토대로 원료 및 완제의약품 제조와 품질시험, 허가자료 작성까지 가능한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 큰 관심을 보였다.
지아후 왕(Jiahu Wang)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 설립자는 “우리 회사는 이제 막 성장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회사인데, 한미 바이오플랜트의 전반적인 공정을 눈으로 보고 설명을 듣는 것이 여러모로 도움이 됐다”며 “무엇보다 스케일 면에 감탄했고, 공정 전반에 적용된 자동화 시스템과, 고객사 요구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연함이 돋보였다”고 말했다.
스테판 가네(Stéphane Gagné) 이뮤지니아(Immugenia) CEO는 “바이오의약품이 생산되는 전 과정이 인상 깊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창고(automatic warehouse) 등의 기술력도 우수했다”며 “바이오의약품 생산의 첫 단계인 배양(fermentation) 단계에서부터 고객사 니즈에 맞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고 전했다.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완제의약품 기준으로 연간 2000만개 이상의 프리필드시린지 주사기(prefilled syringe)를 제조할 수 있는 생산능력(capacity)을 보유하고 있다.
동물세포 배양 기반의 설비를 갖춘 국내 주요 CMO 회사들과는 달리 평택 플랜트는 미생물 배양을 이용하는 제조설비를 갖추고 있어, 바이오의약품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점이 차별점으로 꼽힌다.
또 코로나 팬데믹 이후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DNA 및 mRNA 백신도 대규모로 제조 가능하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올해는 한국과 캐나다가 수교 60주년을 맞은 뜻깊은 해”라며 “캐나다 사절단의 평택 플랜트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캐나다 제약바이오 업체들 간의 보다 활발한 상호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전문 교육 프로그램 마련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사업개발 분야 실무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Global Business Development(GBD)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마련, 오는 6월 13일 오픈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선구자적 성과를 거두어 온 GBD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고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이번 교육을 통해 앞서 나간 회사들의 성공과 실패를 압축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GBD 교육 프로그램은 온라인 강의(21차시), 오프라인 워크숍(3일, 21시간), 온라인 전문가 인터뷰(10차시)로 나뉘어 진행된다.
온라인 강의 과정은 ▲제약바이오 사업개발 프로세스 실무의 이해 ▲국제 계약의 기초 ▲라이센스 계약의 이해 ▲제약바이오산업에서의 특허 ▲의약품 전주기 교육 ▲ChatGPT로 구성했으며, 오프라인 워크샵은 ▲계약서 작성 및 검토 ▲Alliance Management Partnership case ▲Licnese In & Out 사례분석 ▲국내/해외 명세서 분석 ▲License In & Out 협상으로 구성했다.
온라인 전문가 인터뷰는 이관순 전 한미약품 부회장, 유근수 동아ST 전무, 김용주 레고켐바이오 대표, 홍유석 전 GSK 사장, 윤태진 유한양행 상무 등이 참여해 ▲GBD 성공의 비결 ▲GBD 전문가 만들기 ▲Global Pharma의 BD view 등을 주제로 자신들의 성공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GBD 담당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제시한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에는 김재현 셀트리온헬스케어 전무, 양원석 디앤디파마텍 이사, 김도영 대웅제약 센터장, 조원희·김용하 디라이트 변호사 등이 전문 강사로 참여한다.
이들 교육은 모두 협회 교육 홈페이지(교육통합센터)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교육통합센터는 협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알림&신청→교육’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대웅제약,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 성료
대웅제약(대표 전승호ㆍ이창재)은 지난 14일 서울 등 수도권 지역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대웅 에스테틱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Daewoong Aesthetics 1Day Master Class)’를 열고 만성 통증에 대한 해결법을 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대웅 에스테틱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는 아시아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와 국내에서 유일하게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턱밑 지방 개선 주사제 ‘브이올렛’ 등 자사 에스테틱 브랜드 제품에 대한 학술적 이해, 시술 및 환자 창출 노하우까지 단 하루 만에 마스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지역별 미용 실습 세미나다.
특히 나보타는 지난 2018년 경추 및 견대부의 근막통 증후군(MPS-Myofascial Pain Syndrome)에 대한 효과를 입증해 SCI급 저널 ‘톡신스(Toxins)’에 연구 결과가 게재된 바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나보타 시술 후 12주에 경추 및 견대부의 근막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및 기능장애(NDI, Neck Disability Index)가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됐으며, 안전성도 입증됐다.
이번 클래스는 강남올바른신경외과의원에서 수도권 지역 의료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나보타를 활용한 부위별 통증 시술 노하우 ▲라이브 시연 및 1대 1 핸즈온 코칭 순으로 진행했으며,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의료진들이 듣고 싶은 강의 및 형식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구성했다.
최우진 올바른신경외과의원 인천연수점 원장은 나보타를 활용한 부위별 통증 시술 노하우를 주제로 강연했다.
실제 임상에서 목, 어깨, 허리 등 다양한 부위의 만성 통증치료를 위해 보툴리눔 톡신 시술이 대중화 되고 있으며, 통증 부위 사용에 대한 적응증 확장을 다룬 논문을 리뷰하며 보툴리눔 톡신 사용에 따른 통증 완화의 긍정적 결과가 많다고 설명했다.
최 원장은 또한 직접 임상에서 시술하고 있는 만성 통증 치료 시술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다양한 부위의 근육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보툴리눔 톡신의 주사 위치 및 적정 용량 등에 관한 시술법을 설명했다.
이어진 라이브 세션에서는 최 원장이 고도화된 시술을 선보이며 노하우를 공유했고 참석한 전문 의료진들 또한 현장에서 직접 시술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졌다.
최우진 원장은 “통증의 부위 및 그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보툴리눔 톡신을 치료에 활용하는 선택이 중요하다”면서 “통증에 대한 효과가 이미 입증된 나보타에 대한 이해와 주사 근육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 아래, 기존의 치료 방법으로는 호전이 적었던 환자들에게 시도해 볼 만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이번 클래스가 의료진들과 양질의 정보를 교류하는 교육의 장이 돼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국내 전문 의료진의 니즈와 최신 시장 트렌드를 고려한 시술법 제공을 통해 의료진과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기회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웅제약은 지속적으로 대웅 에스테틱 원데이 마스터 클래스를 개최해 메디컬 에스테틱 브랜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