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유통일원화 폐지 ‘눈치보기’
취지엔 ‘공감’, 대응엔 ‘글쎄’
2006-05-15 의약뉴스
업계 전반적으로 “유통일원화를 폐지해야 한다”는데는 기본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선뜻 선봉에 나서겠다는 업체가 눈에 띄지 않고 있는 것.
이는 현재 분위기상 도매업계와 전면전을 벌여 업계의 입장을 관철시킨다는 보장이 없는데다, 현재 도매업계와의 관계 등 현실 인식도 이에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A제약사 관계자는 “유통일원화 폐지라는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하면서도 “현재 업계와 관련된 분위기가 이를 선뜻 내세우기가 조심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말을 아꼈다.
그는 “현재 업계 전반적인 상황을 감안할 때 대형 제약사 가운데 어느 한 곳에서 도매업계에 반기(反旗)를 들고 나오지 않는 이상 유통일원화 폐지 문제가 다시 공론화되긴 어렵다”면서 “하지만 어느 업체도 도매업계에 쉽게 등을 돌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해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시인했다.
또한 B제약사 관계자도 “일부 대형 제약사의 경우 물류시설 등이 도매업 허가를 획득한 곳이 많아 이를 통해 암암리에 대형 종합병원과의 거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에 따라 도매업계와의 전면전보다는 현실적인 타협을 염두에 둔 곳이 많은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제약협회는 유통일원화 폐지는 당연하다면서도 업계의 요청이 있을 때 관련 정보제공이나 행동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했다.
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주장하는 유통부조리 척결과 관련, 유통일원화를 통해 달라진 것이 무엇이냐”고 반문하면서 “기업의 경영활동을 제한하는 유통일원화는 구시대적이고, 절대적으로 불필요한 조항”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사의 유통망을 활용, 비용절감에 나서야 할 업체에 굳이 도매를 통해 이를 유통해야 한다는 것은 시장논리를 봤을 때도 어긋나는 전근대적인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하지만 그는 “이와 관련, 아직 업계의 직접적인 요청이 없는 만큼, 협회차원의 구체적인 대응방안이나 계획은 없다”면서 “만약 이에 대한 행동에 나설 경우에도 그 대상은 도매업계가 아닌, 정책결정권자인 복지부와 정부단체가 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이에 앞서 도매업계는 최근 확대 회장단 회의를 갖고, 일부 제약사들의 유통일원화 폐지 주장을 정면 비판했다.
이날 도매협회 황치엽 회장은 “최근 행정처분을 계기로 일부 제약사들을 중심으로 유통일원화 폐지 운운하는 행위에 대해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며 “그동안 산발적으로 대응한데서 탈피, 앞으로는 전면적이고 적극적으로 이에 맞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