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산업, 하반기 ‘장밋빛’ 재현
포지티브·한미FTA등 대형제약사엔 ‘기회’
2006-05-10 의약뉴스
특히 이같은 불확실성은 국내 제약산업의 구조조정을 앞당겨 대형 제약사들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9일 우리투자증권은 제약산업 하반기 경기전망 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복지부의 약값 인하 의지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추진 과정에서 부각된 불확실성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부적절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우리투자증권 황호성 연구원은 “상반기 제약업종의 전반적인 주가 약세의 원인은 실적 부진 등 펜더멘털적 요인이 아니라 투자심리 악화에 따른 것”이라며 “이는 주요 제약사들의 지난해 4분기 및 올 1분기 실적이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시장의 기대치를 충족하거나 이를 상회했다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황 연구원은 “보험재정을 절감하고 업종의 과당경쟁을 제한하기 위한 제도변화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제도변화에 비교적 강한 내성을 가진 대형사 중심의 투자가 유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우리투자증권은 복지부의 계획 중 ‘포지티브 리스트 시스템(선별품목 시스템)’ 도입과 제네릭 의약품 가격산정 방식 변경을 제외하고, 의약품 가격산정 방식 변경, 신약의 가격산정 방식 변경, 처방 방식 변경, 고가약 처방 억제 등 상당수는 미국과 의사들의 입장과 상충돼 현실적으로 추진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황 연구원은 “포지티브 리스트 시스템 도입은 자발적 약값인하 유도를 통해 약값 부담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선발 제네릭 품목들에게 유리하게 작용, 후발 제네릭 의약품과의 차별화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따라서 제네릭 의약품 중심의 국내 중소형 업체들에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사진2>
이와 함께 한미 FTA와 관련, 황 연구원은 “미국이 요구하고 있는 의제들은 대체로 정부의 계획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면서도 “하지만, 특히 이해관계가 가장 대립하는 제네릭 의약품과 관련, 정부가 개발 및 출시에 관한 부분에 대해 양보할 뜻이 없음을 내비치는 점은 국내 업계에는 다소 위안이 되는 대목이다”고 지적했다.
황 연구원은 “결국 복지부의 약값 절약을 위한 정책 변화와 한미 FTA와 관련된 미래의 제도 변화 등 최근 거론되고 있는 불확실성은 연구개발력을 갖춘 국내 상위권 제약사들에게는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이라며 “이러한 제도 및 정책의 변화 방향은 국내 제약산업의 구조조정을 앞당기고, 상위권 제약사들의 운신의 폭을 오히려 확대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