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단체 ‘선택분업’ 도입 주장, 약사사회 반발

소청과의사회 “코로나19, 독감에 대해 선택분업 요구”...약사들 “억지 주장”

2022-12-21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 한 의사단체가 코로나19와 독감에 대한 선택분업 도입을 복지부에 요구하자 일선 약사들은 즉각 반발했다.

한 의사단체가 코로나19와 계절 독감에 대해 선택의약분업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히자 일선 약사들은 즉각 반발했다.

약사들은 의사단체의 주장에 의약분업의 근간을 깨는 주장이며 현실성 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회장 임현택)는 21일, 국민신문고를 통해 보건복지부에 ‘긴급 국민선택분업’을 요청했다고 발표했다.

소청과의사회는 “코로나19가 유행한 이후 환자들이 증상 치료에 필요한 호흡기 계통 치료 약물의 부족 현상이 올 봄부터 개선되지 않고 의료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해열진통제와 호흡곤란을 치료하는 부데소니드 흡입제 등은 처방전을 발행해도 약을 못구하기 일수”라고 밝혔다.

이에 “코로나와 독감 유행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의원에서 약을 받길 원하는 환자들에게 약을 줄 수 있도록 국민선택분업 제도를 긴급히 도입해주시길 바란다”고 복지부에 요구했다.

이처럼 소청과의사회가 의원에서 코로나19와 독감에 한정해 직접 약을 처방ㆍ조제하겠다는 주장을 내놓자 일선 약사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일선 약사들은 소청과의사회가 한시적 국민선택분업 제도라는 이름의 주장으로 의약분업의 근간을 흔들려고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약사 A씨는 “소청과의사회의 주장을 듣고 처음에는 어이가 없었다”며 “의약분업이 시행된 지 20년이 지났는데, 그 근간을 흔드는 주장을 펼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의원에서 약을 타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이는 현실과 다르다”며 “이미 코로나19와 독감 환자로 가득 차 접수하고 진료까지 1시간이 넘게 걸리는 병원이 부지기수”라고 지적했다.

이에 “투약의 시급성 등을 주장하면서 긴급선택분업 도입을 주장하는데, 1시간 이상 걸려서 약을 받는 것이 정말 신속한 조치인지 궁금하다”며 “사람이 붐비는 의원에서 약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것보다 약국에 와서 신속ㆍ정확하게 조제약을 받는 것이 더 쉽다”고 반박했다.

감기약 공급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의원급 의료기관이 이 문제에 대안으로 나설 여력도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약국은 대체조제와 커뮤니티를 통한 불용재고 재분배 등으로 약 부족 사태에 대응하고 있지만, 의원급 의료기관은 이런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

약사 B씨는 “지금 전국적으로 유통망을 갖춘 약국가에서도 구하지 못하는 약들을 의원에서는 비치할 방법이 있는지 궁금하다”며 “대체조제나 이런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의료기관이 정말 현 상황에 잘 대응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구체적으로 “소청과의사회의 주장처럼 일부 의약품이 없긴 하지만, 이는 대부분 대체조제 등의 방식으로 환자들에게 적절한 약을 공급하며 해결하고 있다”며 “약을 구하기 어려워하는 환자들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실상은 약사들의 활동으로 환자들은 약을 잘 받아가고 있다”고 반박했다.

여기에 “제약사와 직접 소통하는 약사들도 구하지 못하는 시럽제 등을 구할 수 있다는 방법도 없이 무작정 의료기관이 대안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이는 복지부가 고민할 가치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