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의료계 연대와 별개로 플랫폼 대응 추진
물밑으로는 소통...“방향 같으니 추후 연대할 것”
[의약뉴스]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전문가 단체들의 공세가 거세지는 상황에서 대한약사회(히장 최광훈)는 당장은 별도로 활동하지만, 추후 다른 단체들과 연대해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전문가 단체들이 출범한 ‘올바른 플랫폼 정책 연대’와 활동 방향이 같은 만큼, 궁극적으로는 함께할 생각이며, 물밑으로 소통 중이라고 알렸다.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변호사협회, 대한건축사협회는 지난 17일 ‘올바른 플랫폼 정책 연대’를 출범하며 플랫폼 기업에 대한 조직적 대응을 예고했다.
이처럼 전문가 단체들이 플랫폼 기업들과의 대립 구도를 형성하자 약사사회에서도 약사회가 연대에 참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의협과 치협이 연대에 함께하고 있는 상황에서 약 배달의 피해 당사자인 약국도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는 것.
이와 관련, 약사회는 일단 개별적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플랫폼 업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단체들의 의견에는 동의하며 함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약사회 관계자는 “올바른 플랫폼 정책연대와 관련해 약사회에도 참여 제의가 왔는데, 단체 간 세부적으로 조정할 사안이 많아 당장은 합류하기 어렵다는 뜻을 전했다”며 “일단 약사회는 개별적으로 약 배달 플랫폼에 대한 반대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개별적이라고 해서 이들과 함께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며 “연합전선은 이미 형성된 것이고, 그 전선에서 약사회는 각개전투를 하는 중이라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에는 플랫폼 기업 규제라는 큰 강에서 모두 만나게 될 것”이라며 “약사회의 성과도 정책연대에 도움을 주고 반대의 경우도 약사회에 영향을 준다”고 부연했다.
올바른 정책 연대를 기반으로 플랫폼 기업 전반에 대한 규제 협의체를 출범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플랫폼 업체 전반에 대한 규제 의견을 정부가 듣고 이를 반영한 협의체가 구성될 수도 있다”며 “다양한 직종들이 모두 플랫폼 기업들의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이를 해결할 방법을 함께 고민하는 중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회는 플랫폼 업체에 대한 고소ㆍ고발 등으로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만들고 있다”며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법적으로 논할 때 약사회의 이러한 활동이 모두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결국은 큰 강에서 모든 전문직들이 만날 것”이라며 “합류하기에 앞서 약사회는 약사회만의 방식으로 계속해서 플랫폼에 대응하고 있음을 알아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