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보건복지위 국정감사]올해 지방의료원 의사 결원율, 2018년 대비 2배 증가

2022년 9월 기준 의사 결원율 14.5%...결원율 높은 지역 전남>대구>제주>전북 순

2022-10-05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지방의료원 35곳의 결원율이 지난 2018년과 비교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방의료원의 결원율이 지난 2018년 7.6%에서 올해 9월까지 14.5%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 김원이 의원은 지방의료원 결원율이 크게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김원이 의원실은 “최근 5년간 지방의료원 의사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에는 7.6%였던 결원율이 2019년에는 12.3%로 급증, 2020년 11.5%, 2021년 13.8%에 달했다”며 “2022년 9월 현재 14.5%까지 증가했고, 정원은 2018년 1037명에서 2022년 9월 현재 1266명까지 증원했으나, 아직까지 184명이 선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최근 5년간 결원율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전남(25.9%)였으며, 그 뒤로 대구(20.9%), 제주(17.4%), 전북(16.6%) 순서였다.

전남 외에도 전북과, 충북, 대구 등 지방의료원 35곳 중 24곳이 의사를 구하지 못했다.

또한 4개 필수진료과(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모두 있는 의료원은 35곳 중 23곳(65.7%)이었으며, 6개 필수진료과(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비뇨기과)의 경우 35곳 중 8곳(22.9%)에 불과했다.

김원이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시절 ‘필수의료 국가책임제’ 공약을 제시했지만, 110대 국정과제에서는 ‘필수의료 기반 강화 및 의료비 부담 완화’로 축소됐다”며 “또한, 지난 7월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망 사건이 발생하고 ‘필수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그제서야 복지부에서 ‘필수의료 확충 추진단’과 ‘필수의료TF’를 발족했고, 현재까지 뚜렷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필수의료 기피 현상이 늘면서 지방의료원 등 의료취약지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이 어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의사정원 확충과 처우 개선, 지역의사제 도입 등 필수의료 강화 및 지역간 의료 격차 해소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