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추석 이후 비대위 재가동 예고
약 전달 관련 논의 예정...상황별 시나리오 마련할 듯
[의약뉴스] 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가 정부의 비대면 진료 및 약 전달 추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선다.
비상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약사법 개정에 대한 상황별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정부는 오는 2023년 6월까지 비대면 진료 제도화와 약 전달을 위한 관련법 개정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약사회는 지난 5월 결성한 비대위를 중심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현재 비대면 진료와 약 전달 문제에 본격적으로 불이 붙기 시작한 것이 맞다”며 “이에 대해서 약사사회의 우려가 큰 것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사회의 비상 상황이니 이에 맞게 지난 5월에 결성한 비대위를 중심으로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당장 추석 이후에 열리는 비대위 회의에서 어떻게 그림을 그려 대응 방안을 준비할지 고민할 것 같다”고 전했다.
약사회는 약 전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정리부터 시작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가 어떤 그림으로 일을 추진할지 모른다는 것”이라며 “정부가 직접 약사법 개정안을 발의할 것인지, 여당을 중심으로 일을 추진할지 알려진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회 입장에서는 아직 실체가 없는 일에 대응할 방법을 내놓기가 어렵다”며 “현재는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대응책을 준비하는 것에 집중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에 “비대위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대책 논의를 할 때는 개념 정리부터 시작할 듯 싶다”며 “약사회가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분석하고, 일관된 노선을 갖춰야 나중에 총체적으로 대응할 때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나아가 “추석 이후에 비대위를 통해서 적극적으로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며 “매주 회의하고 있으니 국회 상황에 맞춰 구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5월 출범한 대한약사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변정석, 김은주 비대위원장이 사퇴하고 조상일 인천시약사회장과 최종석 경남도약사회장을 새롭게 비대위원장으로 임명하며 조직을 재정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