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장관 공석 넉 달, 실체 없는 하마평만 무성

일부 후보군 정리...국회에서도 “용산에서만 알 것”

2022-09-02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복지부 장관 부재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도 후보군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의약뉴스]  “누가 지명될 지 아무도 모른다.”

9월이 시작되며 정기국회가 개원했지만, 여전히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오리무중이다. 

보건의료계에서는 가을과 겨울 독감과 코로나19 유행이 맞물리는 트윈데믹을 앞두고 컨트롤 타워의 부재를 우려하고 있다.

국회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이른 시일 내로 복지부 장관을 임명하겠다고 말했지만, 아직까지 후보군에 대한 정보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한동안 하마평에 오르던 인사들의 이름 중 일부는 정리됐지만, 남은 인사 누구에게 무게가 실리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는 것.

이 관계자는 “최근 하마평에 올랐던 인사 중 일부의 거취가 정해지면서 후보군이 조금 압축됐다”며 “정치인 출신 후보자로 꼽혔던 인사 중 다른 일을 선택한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나경원 전 의원의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라며 “나 전 의원은 최근 한 로펌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복지부 장관에서는 멀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황상 복지부 장관에서 멀어진 사람들은 알 수 있지만, 누가 지명될 것인지는 아무도 모른다”며 “아마도 용산 대통령실에서만 정보가 있을 텐데, 그 이외에는 아무도 차기 장관 후보자가 누가 될 것인지는 모른다”고 전했다.

자칫 장관 임명 후 곧바로 국정감사에 돌입해 실속없이 마무리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약업계 관계자는 “이대로 가면 국정감사에서 보건의료 현안은 다루지도 못할 수 있다”며 “추석 전에 후보자가 지명되지 않으면 청문 절차에만 9월을 모두 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10월 4일부터 국정감사에 돌입하는데 그렇다면 장관이 임명되더라도 전문가가 아니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감사를 받게 된다”며 “만약 논란이 있는 인물에 대해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하면 국정감사가 청문회의 연장선상에 놓여 아무 의제도 못다루고 여야 갈등의 장으로 끝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의료계에서는 독감 유행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할 중요한 시기이기인 만큼, 복지부 장관 임명을 더욱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의료계 관계자는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유행할 독감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하는 시기가 지금”이라며 “지금 독감 유행에 대비하지 않으면 코로나19 재유행과 맞물려 트윈데믹이 심각하게 다가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 장관 임명을 더욱 서둘러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며 “정부가 보건의료계와 소통할 수 있는 인사를 신중하면서도 빨리 임명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