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임상시험 인프라에 100억 지원
전문인력 양성 지역임상센터 15곳 구축
2006-04-14 의약뉴스
특히 이번 지원사업은 현재 국내에서 다수 수행 중인 임상3상 보다는, 기본 인프라와 전문인력이 절대적인 임상 1·2상 시험에 집중될 예정이다.
13일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팀 김성수 사무관은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한국노바티스 주최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 ‘정부의 임상시험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임상시험 관련 정부의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김성수 사무관은 이날 “선진국 수준의 임상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지난 2004년부터 지역별로 경쟁력을 갖춘 임상시험센터를 연차적으로 선정,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향후 5년 이내에 선진국 수준의 임상지원센터 15곳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사무관은 또 “선정된 센터에는 시설, 장비, 인력 등 임상시험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재원이 지원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연간 10억원 이내에서 5년 동안 총 40억원을 지원하고, 민간 지원 60억원을 확보 총 100억원을 지원사업에 투입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 사무관의 발표에 따르면, 지역임상시험센터는 인구, 행정구역 등을 고려해 4개 권역으로 적정 센터수를 구분됐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7개소를 비롯해 ▲중부권(대전, 충남, 충북, 강원) 2개소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2개소 ▲영남권(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2개소 등 모두 15개를 선정, 지원할 계획이다.
복지부 또 현재까지 선정된 지역임상시험센터는 연세대학교의료원, 서울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등 초 6곳이다.
김 사무관은 이에 대해 “조만간 수도권에 2곳, 지방 1곳에 대한 지역임상시험센터 추가 선정 작업이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공개했다.
이와 함께 김 사무관은 이날 지역임상시험센터에 임상시험 전문인력 확보에도 진력할 계획임을 밝혔다.
김 사무관은 “현재 활동 중인 임상약리를 전공한 임상관련 국내 전문가는 10suf 안팎에 불과하다”면서 국내 전문인력은 불과 10명 안팎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하고, “내년부터 3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2016년까지 10년간 5,0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 선진 수준의 임상시험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임상시험 수준의 선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김 사무관은 특히 임상시험인프라지원사업과 관련, ▲질(Value) ▲비용(Cost) ▲시간(Time) 등 3개 요소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사무관은 “이들 가운데 앞으로는 특히 기술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질’부문이 이번 지원사업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당사인 복지부는 물론, 과기부와 산자부 등 부처별 특색있는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열악한 국내 임사시험 인프라 개선에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를 통해 우수한, 많은 후보물질을 도출, 다국적 제약사의 투자를 증대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늦어도 2010~2012년경에는 임상관련 인프라가 상당부분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사무관은 특히 “국내 1·2상 임상시험 관련 인프라 부족으로 다국가 임상시험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는 이를 수행할 별도의 공간(인프라)과 인프라 부족에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