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 신속대응시스템 실효성 두고 설왕설래
식약처 “제약사ㆍ유통업계 협조 필요”...유통업계 “현장 상황 모르는 의견”
[의약뉴스]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감기약 품귀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된 ‘감기약 신속대응시스템’을 두고 불협화음이 나오고 있다.
일선 현장에서 시스템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식약처에서는 제약사와 유통업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고 나섰지만, 유통업계에서는 오히려 식약처가 현장 상황에 맞춰 조율해야 한다며 공을 넘겼다.
식약처는 지난 8일부터 감기약 신속대응시스템을 가동했다. 이는 대한약사회에서 우선 공급을 요청한 10개 품목과 해당 품목을 대체할 수 있는 품목에 대한 공급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선 약국에서는 이를 통해 도매상이나 제약사에 필요한 의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하지만 일선 약국에서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시스템상으로는 의약품의 재고가 있다고 나오지만, 실제 도매상을 통해 약을 주문하려 하면 구할 수 없다는 것.
현장의 불만이 이어지자 식약처는 제약사와 도매상의 도움이 뒷받침돼야 시스템 운영의 실효성이 확보될 수 있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감기약 신속대응시스템은 의약전문가 단체와 제약ㆍ유통협회를 중심으로 운영 중”이라며 “이 시스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개별 제약업체와 도매상의 협조가 절대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스템에서 공급 가능 정보를 확인한 약국으로부터 공급요청을 받은 도매상이나 제약사는 거래처가 아니더라도 적극적으로 의약품을 공급해야 한다”며 “그래야만 시스템 운영의 실효성이 확보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유통업계에서는 식약처가 현장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쓴소리를 던졌다.
단순히 수량 보고만 받는 현 시스템에서 정부 기관의 조율이 없다면 현실적인 요인으로 인해 원활한 의약품 공급이 어렵다는 것.
유통업게 관계자는 “감기약 신속대응시스템은 생산 정보 등을 보고하는 것이지, 이와 관련된 강제력이 없다”며 “식약처가 조정자로서 생산된 의약품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와 같은 지침을 내리지 않기에 기존에 배분되던 방식으로 시스템이 굴러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유통업체나 제약사들은 이미 최대한 협조하고 있다”며 “특히 유통업계 입장에서는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약이 없어 약국에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거래하지 않는 약국에 의약품을 전달하는 것은 키트나 마스크와는 다른 문제”라며 “전국민적으로 균일한 수요가 있던 상황과 비교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식약처가 전면에 나서서 조율하려 하지 않으면 현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며 “정부의 고민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