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한약제제 활성화 지원 방안 고민”
업계 의견 건의 시스템 구축...규제 개선 요청 창구도 만들어
[의약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한약제제 활성화 지원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업계와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업체들의 성장을 막는 과도한 규제를 개선하는 등 한약제제 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설명이다.
식약처 한의약정책과는 19일, 전문지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통해 한약제제 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한약 분야가 침체된 것이 맞다”며 “한약ㆍ생약제제 등 부분이 전반적으로 그런 상황”이라고 전제했다.
구체적으로 “전반적으로 의약품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고 확장하고 있는데, 한약 시장은 그렇지 않다”며 “전체적인 판매 금액은 유지하고 있지만, 이는 결국 성장하는 시장에서 입지가 작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식약처는 지난 5월, 천연물의약품 산업 발전 협의체를 결성해 문제 해결에 나섰다.
식약처 관계자는 “올해 5월에 천연물의약품 산업 발전 협의체 운영을 재개했다”며 “그동안 코로나 상황 등으로 제대로 운영하지 못했는데, 운영을 재개해 한약 시장을 키우기 위한 작업을 하려한다”고 전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표 메일을 통해 업계가 건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며 “이외에도 생약제제 발전을 위한 허가제도 변경 등을 요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규제 중 해외 사례와 비교해서 과도한 부분이 있다면 업체들에게도 적극적으로 건의해 달라 말했다”며 “언제나 창구를 열어두고 업계의 의견을 들으려 한다”고 전했다.
일선 약국가에 한약제제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생산을 독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식약처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유행 과정에서 일선 약국가에 한약제제가 부족한 일도 있었다”며 “처음에는 생산 독려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후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 독려 대상에 포함시켰고, 지금은 일부 호전된 것으로 안다”며 “생약제제와 한약제제는 원가가 높고, 생산 공정이 어려워 제작 속도가 느리다는 구조적 문제가 있어 공급이 늦어진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식약처는 오는 2025년까지 천연물 안전관리원을 완성해 원재료 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약처 관계자는 “2025년까지 천연물 안전관리원을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추후 명칭이 바뀔 수 있지만, 천연물 특성에 맞는 안전관리 체계를 만들려 한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 “한약이 현재의 과학 수준에서 안전하냐는 의심이 있다”며 “이외에도 원재료에 대한 유해물질 관리에도 문제가 있어 이를 위한 설비를 설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최근 한약제제의 경우 원재료에서 중금속이 검출되거나 하는 부분이 있다”며 “이는 토양오염, 잔류농약 등의 문제인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는 한다”고 부연했다.
나아가 “천연물 안전관리원은 생약 관리센터와는 별개의 영역이 될 것”이라며 “나중에는 생약 관리센터와 천연물 안전관리원이 협업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