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노피 듀피젠트,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에도 효과

최초의 긍정적인 3상 결과...조직학적 관해 개선

2022-07-17     의약뉴스 이한기 기자

프랑스 제약기업 사노피의 생물의약품 듀피젠트(성분명 두필루맙)가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에게도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노피는 1~11세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를 대상으로 듀피젠트를 평가한 임상 3상 시험에서 고용량 및 저용량 체중 계층 요법을 통해 1차 평가변수인 16주차 조직학적 질병 관해 목표를 달성했다고 14일(현지시각) 발표했다.

▲ 사노피의 듀피젠트는 1~11세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에서 최초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호산구성 식도염은 식도를 손상시키고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현재 FDA가 12세 미만의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를 위해 승인한 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다.

성인 및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를 대상으로 관찰된 듀피젠트 임상 결과는 인터루킨-4(IL-4)와 인터루킨-13(IL-13)이 질병 주요 원인인 제2형 염증의 주요 원인 물질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에서 일반적인 증상은 위산 역류, 구토, 복부 불편감, 연하곤란, 성장부전 등이다. 이러한 증상은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는 음식 관련 두려움과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호산구성 식도염 표준요법에는 식단 조절과 승인되지 않은 치료제의 사용이 포함된다.

임상 3상 시험에서 1~11세 환자 102명은 체중을 기반으로 듀피젠트 고용량 투여군과 저용량 투여군 또는 위약군에 무작위 배정됐다. 시험 결과 치료 16주 차에 고용량 투여군의 68%와 저용량 투여군의 58%가 유의한 조직학적 질병 관해(식도 상피내 호산구 수 6eos/hpf 이하)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위약군은 이러한 비율이 3%였다.

또한 듀피젠트 고용량 투여군은 최고 식도 상피내 호산구 수가 86% 감소했고 이에 비해 위약군은 21% 증가했다. 생검검사의 현미경 수준에서 측정된 질병 중증도 및 범위는 기준치 대비 각각 0.88, 0.84 감소했고 위약군은 0.02, 0.05 증가했다. 비정상 내시경 소견은 3.5점 감소했고 위약군은 0.3점 증가했다.

듀피젠트 고용량 투여군에서 보호자에 의해 보고된 호산구성 식도염 증상 경험 일수는 위약군에 비해 수치적 개선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사전 지정된 탐색적 분석의 일환으로 측정된 연령 퍼센타일(백분위수) 체중 증가는 고용량 투여군이 3.09, 위약군이 0.29다.

저용량 투여군도 조직학, 해부학, 세포 2차 평가변수가 분석됐는데 모두 명목상 유의하고 고용량 투여군과 유사했다. 보다 자세한 결과는 차후 학술대회에서 공유될 예정이다.

안전성 결과는 듀피젠트의 알려진 안전성 프로파일과 일관됐다. 듀피젠트 투여군에서 보다 흔히 관찰된 이상반응은 코로나19, 발진, 두통, 바이러스성 장염, 설사, 구역 등이다. 이상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율은 듀피젠트 투여군이 0%, 위약군이 6%였다.

사노피 면역질환ㆍ염증 분야 글로벌 개발 총괄 나이미쉬 파텔 수석부사장은 “호산구성 식도염을 앓는 소아를 대상으로 듀피젠트를 평가한 임상 3상 시험의 결과를 공유하게 돼 매우 기쁘다. 이는 처음으로 다양한 1차 및 2차 평가변수에 걸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호산구성 식도염을 앓는 소아를 위한 치료 옵션의 부재는 많은 보호자들에게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식사와 가족 전체의 일과를 조정해야 하는 스트레스와 부담을 야기한다. 일부 사례에서는 장기간 사용 시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 같은 제대로 연구되지 않은 치료제의 오프라벨 사용에 의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임상시험에서 예상보다 빠르고 큰 규모로 등록이 진행된 점은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의 미충족 치료 수요를 보여주며 이러한 전례 없는 긍정적인 결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올해 5월에 듀피젠트 300mg 주 1회 투여 요법을 체중 40kg 이상, 12세 이상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의 치료 용도로 승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