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약바이오산업 윤리경영 보고서 발간 外

2022-02-22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약바이오산업 윤리경영 보고서 발간

▲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준법ㆍ윤리경영 정착과 투명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2022 KPBMA 제약바이오산업 윤리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준법ㆍ윤리경영 정착과 투명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2022 KPBMA 제약바이오산업 윤리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보고서는 ▲제약산업 윤리경영 10년의 성과와 과제(HnL법률사무소 박성민 변호사) ▲의약품 시장 투명성 제고와 공정경쟁규약의 역할(HK이노엔 김기호 상무) ▲제약바이오산업 CP(공정거래자율준수 프로그램) 운영과 향후 과제(한미약품 이승엽 이사) ▲ISO 37001 도입 성과와 윤리경영 실천 과제(일동제약 조석제 전무) ▲제약바이오산업의 ESG와 윤리경영(동아에스티 소순종 전무) ▲미국 제약산업의 윤리경영 동향(종근당 김재득 이사) ▲일본 제약산업의 윤리경영 동향(한국아스텔라스 최인 이사) ▲유럽 제약산업의 윤리경영 동향(법무법인 태평양 안효준 변호사) ▲부록(회원사 윤리경영 실행사례) 순으로 구성됐다.

그동안 협회는 리베이트 근절과 투명성 제고를 위한 기업윤리강령 제정, 윤리경영 체크리스트 도입, 각종 위원회 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투명성 강화 사업을 해왔다. 

또한 기업에서는 공정거래자율준수 프로그램(CP) 및 국제표준 도입, 내부 전담조직 설치, 교육·연구 등을 통해 산업계 문화 정착에 노력해오고 있다. 

이번 윤리경영 보고서는 CSO(의약품판매대행업체)를 통한 불법 리베이트와 지출보고서 공개제도 등 중요한 과제의 효율적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고, 이 외에도 코로나19로 인한 영업마케팅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온라인 마케팅 기준 마련, ESG 경영 도입 등 더 높은 수준의 의약품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준법·윤리경영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원희목 회장은 발간사를 통해 “산업계는 법적 통제에 의한 타율로 준법‧윤리경영을 시작했지만 적극적인 수용과 자율 규제 활동으로 이어가면서 자정능력을 갖추는 등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이러한 결과물이 축적되고 윤리경영 문화가 산업계의 생태계에 자리 잡을 때, 제약바이오산업은 보다 투명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2022 KPBMA 제약바이오산업 윤리경영보고서’는 협회 홈페이지의 KPBMA 자료실, 기타자료 카테고리에서 받아볼 수 있다.

 

◇휴온스글로벌, 두 자릿수 성장 달성
휴온스그룹의 지주회사인 휴온스글로벌(대표 윤성태)은 2021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전년 대비 10% 성장한 매출 5756억원을 달성하며 역대 최고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고 22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750억원, 당기순이익 308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 16%, 66% 줄었다. 

휴온스글로벌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지난 2020년 처음 연매출 5000억원을 돌파한 이후 성장세가 둔화되지 않고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사측에 따르면, 휴온스와 휴메딕스가 각 주력 사업인 제약과 건강기능식품, 에스테틱에서 상승 흐름을 타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 각 4369억, 1110억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 

휴온스메디케어(현 휴온스메디텍), 휴베나 등 기타 자회사들도 안정적인 수익을 내며 그룹 성장에 기여했다. 

지난해 4월 휴온스글로벌에서 물적분할된 휴온스바이오파마는 3개 분기 매출만으로 152억원을 달성했고 지난해 그룹사로 편입된 휴온스블러썸은 매출 160억원을 나타냈다. 

휴온스는 여성 갱년기 유산균 ‘엘루비 메노락토’가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신설한 안과사업부와 주사제가 의약품 사업 성장을 주도했다. 휴메딕스는 신규 HA 필러 브랜드 ‘리볼라인’과 보툴리눔 톡신 ‘리즈톡스’가 에스테틱 사업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됐다. 

영업이익은 전년과 비교해 줄어들었으나, 미래 모멘텀 확보 차원에서 지출된 투자 비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건강기능식품 사업에서 브랜드 안착을 위한 초기 비용으로 광고선전비와 지급수수료 등이 증가했고, 점안제 라인 신설 등 공장 시설 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 의약품 파이프라인의 R&D 비용 증가 등이 영업익 감소 요인으로 꼽힌다. 

당기순이익 감소는 현금 유출이 없는 지분법 평가손실 32억, 자회사 및 손자회사의 영업권 평가손실 274억 등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휴온스그룹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성장 기반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제약 기반의 헬스케어 기업으로서 정체성을 강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기도 과천에 그룹 통합 R&D센터가 건설 중이며, 휴온스와 휴온스바이오파마는 각 점안제, 보툴리눔 톡신 전문 신공장을 건설, 수익성과 경쟁력이 높은 사업에서의 생산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휴온스글로벌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내외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지만, 사업다각화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면서 매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며 “올해에도 가치경영 및 내실성장을 이끄는 등 성장 기조를 유지하면서 지속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휴온스그룹은 최근 헬스케어 산업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건강기능식품과 의료기기 영역의 사업 구조 고도화를 위해 자회사와 손자회사 합병을 추진, 휴온스푸디언스(건강기능식품)와 휴온스메디텍(의료기기)을 출범시킨 바 있다.


◇동아제약 미니막스, ‘우리아이 이~만큼!’ 이벤트 마련

▲ 어린이 건강기능식품 동아제약 미니막스가 3월 18일까지 새학기 이벤트 ‘우리 아이 성장 이~만큼!’ 이벤트를 진행한다. 

어린이 건강기능식품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최호진) 미니막스가 3월 18일까지 새학기 이벤트 ‘우리 아이 성장 이~만큼!’ 이벤트를 진행한다. 

사측에 따르면, 이번 이벤트는 새학기 시즌, 아이들의 성장을 기록하는 기쁨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미니막스 키재기자’를 새롭게 출시하고 미니막스의 대표 제품들을 합리적인 가격에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미니막스 키재기자>는 면 100% 패브릭 소재에 인테리어 무드를 잘 살릴 수 있는 디자인으로 실용성은 물론 조카, 친구 선물용으로도 활용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아이의 성장을 응원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미니막스 키재기자는 동아제약 공식브랜드몰 디몰에서 한정수량 프로모션으로 진행되며 이벤트 기간 동안 ▲미니막스 베스트 2종 세트 구매시 20% 할인 ▲5% 추가 적립금이 제공된다.

2개 이상 구매고객에게는 ▲ 벽걸이 타입 키재기자를 함께 증정한다. 이벤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디몰 이벤트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쿠팡, 네이버 브랜드스토어에서도 다양한 프로모션이 진행될 예정이다. 

새학기 이벤트를 기획한 동아제약 미니막스 이경미 BM은 “제품 구매 시 증정되는 키재기자는160cm의 넉넉한 길이와 언제든 옮겨 달 수 있는 벽걸이 형으로, 아이 성장의 역사를 함께 기록하며 응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미니막스 대표 라인인 ’미니막스 정글‘은 멀티비타민 미네랄, 비타민C, 오메가-3 등 7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됐으며, 동아제약 어린이 건강연구센터 ‘MMX Solution(최소성분 최대효과)’ 원칙으로 설계됐다.

 

◇대웅제약 당뇨병 신약 이나보글리플로진, 중국 3상 승인
대웅제약(대표 전승호ㆍ이창재)은 중국 국가의약품감독관리국(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 NMPA)으로부터 SGLT-2 억제 기전의 당뇨병 신약 이나보글리플로진의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3상을 허가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11월 임상시험신청서(Clinical Trial Application, CTA)를 제출한지 3개월 만이다.

대웅제약은 곧바로 중국에서 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나보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의 임상 3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지난 1월 유사한 내용으로 실시한 임상 3상 톱라인 결과에 따르면, 이나보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은 다파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 병용요법과 비교해서 비열등성을 입증해낸 바 있다. 

대웅제약은 중국에서도 이나보글리플로진의 임상적 가치를 인정받아 25년까지 허가를 취득한다는 계획이다.

이나보글리플로진은 대웅제약이 국내 제약사 중 최초로 개발 중인 SGLT-2 억제 당뇨병 치료 신약으로, 국내에서 실시된 단독, 메트포르민 2제 병용, 메트포르민과 DPP4 억제제 3제 병용 3상 시험에서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 총 630명 대상으로 이나보글리플로진의 우수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다. 

대웅제약은 이나보글리플로진을 SGLT-2 억제제 계열 내 신약으로 개발 중이며, 오는 2023년 국내 발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중국에서 나보타와 펙수프라잔에 이어 이나보글리플로진까지 허가 혹은 임상계획을 승인받은 것은 대웅제약의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대웅제약의 글로벌 신약 포트폴리오를 빠른 시일 내에 현실화함으로써 회사의 성장동력에 더욱 불을 지피고 세계 당뇨병 환자들의 불편함도 덜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웅제약은 중국에서 지난해 말 자체 제조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허가신청을 제출해 중국 식약당국의 허가를 기다리고 있으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신약 펙수클루정은 라이선스아웃에 성공해 현재 3상을 진행 중이다.

 

◇동아제약 오쏘몰, 라미 콜라보 리미티드 에디션 세트 출시

▲ 동아제약이 공식 수입하는 독일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오쏘몰'이 신학기를 맞아 독일 대표 만년필 브랜드 ‘라미’(LAMY)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 한 리미티드 에디션 세트를 선보인다.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최호진)이 공식 수입하는 독일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오쏘몰(Orthomol)'이 신학기를 맞아 독일 대표 만년필 브랜드 ‘라미’(LAMY)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 한 리미티드 에디션 세트를 선보인다.

사측에 따르면, 독일 대표 만년필 브랜드 라미와 진행한 이번 콜라보레이션은 볼프강 파비안의 감각적 디자인에 실용성을 더한 라미의 대표 모델인 사파리(Safari)에 오쏘몰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시그니처 컬러를 입혔다. 

여기에 탈부착되는 오쏘몰의 보틀 디자인의 와펜을 함께 구성해 재미를 더 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한정판 세트는 오쏘몰 X 라미 만년필 제품과 함께 오쏘몰 이뮨을 14일 동안 경험할 수 있게 구성됐으며 구매 고객 전원에게 체험분 2병을 추가 증정한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이번 라미 만년필과의 콜라보레이션 제품은 신학기를 맞아 새로운 출발을 하는 이들을 응원하는 마음을 담아 제작됐다”며 “오쏘몰의 풍성한 에너지와 함께 힘찬 출발을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안국약품, 젠바디 코로나19 신속항원진단키트 공급계약

▲ 안국약품은 안국바이오진단과 젠바디 코로나19 신속항원진단키트 ‘GenBody COVID-19 Ag’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안국약품(대표이사 어진)은 안국바이오진단(대표이사 백철)과 젠바디 코로나19 신속항원진단키트 ‘GenBody COVID-19 Ag’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자회사인 안국바이오진단과 계약을 통해 젠바디의 코로나19 신속항원진단키트를 공급 받는다. 안국바이오진단은 면역/분자 진단 유통 및 제조업체다.

이번 계약으로 안국약품은 전문가용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키트인 ‘GenBody COVID-19 Ag’를 병·의원에 공급하게 됐다 

젠바디의 코로나19 신속항원진단키트는 호흡기 감염병 의심환자의 검체(비인두 및 구인두 가검물)에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Nucleocapsid 항원을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mmunochromatographic assay, ICA)으로 정성하여 코로나19 감염의 진단(선별)을 보조하는데 사용되는 체외진단 의료기기이다.

특히 이 제품은 별도의 실험실과 장비 없이도 15분~20분 안에 안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제품이다. 

국내외 다수의 임상을 통해 90% 이상의 민감도와 99% 이상의 특이도를 확인했으며, SARS-CoV-2의 변이가 없는 핵산단백질(N)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변종코로나19 바이러스의 진단이 가능하다.

안국약품 관계자는 “최근 오미크론 환자가 급증하면서 신속항원진단키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의 방역체계 안정에 도움을 주고 오미크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안국약품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