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마린 유전자치료제 임상보류 해제 연기
발암 위험 평가 필요...수개월은 걸릴 예정
미국 바이오마린 제약의 페닐케톤뇨증(PKU)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 보류 조치의 해제가 연기됐다.
바이오마린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작년 9월에 발표된 BMN 307의 임상 1/2상 시험 PHEARLESS에 대한 임상 보류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가로 요청받았다고 17일(현지시각) 발표했다.
BMN 307은 성인 페닐케톤뇨증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되는 AAV5 인간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 유전자 치료제다.
앞서 바이오마린은 전임상 연구에서 암 발병 위험이 관찰되면서 PHEARLESS 임상 1/2상 시험이 보류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위험이 환자에게도 적용되는지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FDA는 인간 연구 참가자에 대한 이론적 종양 유발 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임상 연구 자료를 요청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몇 분기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바이오마린은 가능한 때에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를 알리기로 했다.
바이오마린의 전 세계 연구개발부 총괄 행크 푹스는 “새로운 치료 방식의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관한 선도기업으로서 환자, 의사, 규제기관의 이익과 전반적으로 이 분야를 위해 새로운 질문에 답변하는 것이 자사의 책임”이라며 “환자 안전성은 당사의 최우선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 분야의 신기술을 통해 보건당국과 개발자가 환자에 대한 이러한 잠재적인 위험을 보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잠재적인 안전성 관련 신호를 특성화하고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유전자 치료제 연구의 참가자 및 연구자와 환자 단체의 지원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와 별개로 바이오마린은 중증 혈우병 A 환자를 대상으로 AAV5 유전자 치료제 발록토코진 록사파보벡(valoctocogene roxaparvovec)과 예방적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병용요법의 안전성 및 효과를 평가하는 임상 3상 시험 Study 270-303의 환자 모집이 완료됐다고 전했다. 이 임상시험의 52주 분석 결과는 내년 상반기에 나올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