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ㆍ 약국 도난수표 비상 요주의
부도수표 교환장소로 악용 대비해야
2006-03-22 의약뉴스
도난수표인지 아닌지 한 번 더 확인해 보자는 의미에서다. 부도수표로 은행에서 받아주지 않자 아예 카운터에 전시해 놓고 환자가 수표를 제시할 때 비교해 경계심을 늦추기 않기 위해서다.
최근 개원가나 개국가는 만원권 위폐 소동과 도난수표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소지가 커 피해 방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수표를 제시하는 환자는 일단 한번 의심해 본다는 것. 수표 뒷면에 이서를 부탁하는 것은 기본이다. 하지만 주민등록번호를 뒷면에 기재하고 연락처를 적어도 형식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주민등록 번호와 수표 이서 번호를 확인하는 절차가 귀찮고 환자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광명시 L 약사는 22일 “수표에 기재된 서명은 의미가 없다”며 “신분증과 얼굴을 대조해 연락처를 받아놔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는 “수표 일련번호를 확인해야 약국이 손해보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L 약사는 일반의약품을 팔고 10만원권 수표로 받아 은행에 입금했지만, 분실신고 된 수표라 입금이 안 된다는 연락을 받았다.
또 다른 약사는 부산에서 도난신고된 수표를 받았다가 애를 먹고 있다. 수표발행인과 통화를 했지만, 절도범이 잡힐 때까지 기다리라는 연락만 받았다.
해당 은행측은 공시최고절차를 밟아 3개월 이내로 이의 신청 후 법원에서 판결조정을 한다는 답변을 되풀이 했다.
수표대신 카드나 현금을 받는 것이 최선책 이지만 환자가 수표를 제시하면 받지 않을 수가 없는게 현실이다. 또 안전을 이유로 조제로 바쁜 상황에서 일일히 일련번호 등 수표를 확인하기도 어렵고 환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애로점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 약사는 “약국이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 도난수표를 현금으로 바꾸기 위해 찾는 경우도 종종 있을 것”이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의약뉴스 박진섭 기자(muze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