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이 생각하는 장기ㆍ조직 기증 활성화 방안은

KODA, 연구용역 실시...신경외과 의사들 '전담 전문의 제도' 필요성 제기

2021-07-22     의약뉴스 신승헌 기자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이 대한신경외과학회ㆍ대한신경중환자의학회에 의뢰한 장기ㆍ조직 기증 접근방법 등에 관한 연구(책임연구원 가톨릭의대 조광욱) 결과가 지난 20일 공개됐다.

여기에는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신경외과 의사들이 밝힌 뇌사 장기ㆍ조직 기증 활성화 방향에 대한 제언이 담겼다. 신경외과 의사들은 특성상 중증 뇌손상 환자를 주로 진료한다.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신경외과 의료진들은 장기ㆍ조직 기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장기ㆍ조직 기증 후 예우(장례식장까지의 이송 포함)에 대한 적극적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기증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우를 높이는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은 특별히 강조했다. 현행 법률에서 규정한 경제적 지원 이외에도 소외된 부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기증자와 유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치료 단계에서의 장기ㆍ조직 기증 활성화 방안도 제시됐다.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에 응한 이들은 신경외과 의사들에게 뇌사 장기ㆍ조직 기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많은 신경외과 의사들은 뇌사 추정자 선별과 관련된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뇌사 추정자 선별 이후의 뇌사판정 절차, 관련 법률 규정, 윤리적 문제, 기증자 지원 등 실무적 교육은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그 필요성에 대해 대다수가 공감했다.

응답자들은 이러한 교육을 신경외과 전공의 과정에서 필수 교육화 하거나, 학회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필수 항목으로 넣는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신경외과 중환자실 전담 전문의 제도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뇌사 추정자 원인 질환은 저산소성 뇌손상, 뇌종양, 뇌경색, 뇌출혈, 두부 외상 등이다. 이러한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신경계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는데, 환자마다 주치의가 다르다.

또, 주치의마다 뇌사 장기ㆍ조직 기증에 대한 의견이 달라 설명ㆍ설득 과정도 없이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경외과 중환자실 전담 전문의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다.

이밖에도 ‘신경외과 의료진의 뇌사 장기ㆍ조직 기증에 대한 면담 기술과 설명과정에서의 코디네이터의 협력이 중요하다’, ‘장기ㆍ조직 기증 및 이식의 전 과정을 조율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 ‘뇌사자 발굴과 관련한 의료기관 평가항목을 확대하고, 이를 장려하기 위해 재정 및 인력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와 같은 목소리가 있었다.

‘뇌사판정 과정 중에 사망하거나 장기 상태 악화로 이식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는 회복 불가능 판정의 적절한 시점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뇌사판정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국내 뇌사판정 절차의 재검토 필요성 등이 언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