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닥터나우, 사실상 개점 휴업"

정수연 정책이사..."정식 계약 약국도 모두 해지"

2021-07-08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대한약사회 정수연 정책이사가 닥터나우 및 약 배달 규제 철폐 관련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가 닥터나우 무력화에 성공했다고 자평했다.

회원들의 계약 해지를 유도, 사실상 개점휴업상태가 됐다는 설명이다.

대약 정수연 정책 이사는 7일, 출입 기자들과 만나 닥터나우 관련 현황과 함께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약 배달 관련 규제 철페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이에 앞서 서울시약사회와 경기도약사회 등 지역약사회에에서는 닥터나우에 대한 집단 반대 행동이 이어졌다.

이와 관련, 정 이사는 “대한약사회 차원에서 제안한 내용을 지부에서 동참해 집단행동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업체 측에서 공개된 자료를 사용해 개별 약국이 따로 계약을 맺지 않았음에도 제휴한 것으로 착각하게 했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가 모든 약국을 선택할 수 있다는 착각을 하게 만들었다”면서 “이에 대해 회원약국들의 위임장을 받아 회원 삭제요청을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업체와 정식으로 제휴 계약을 맺었던 약국들도 모두 계약을 해지했다”며 “현재 닥터나우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정 이사는 대한약사회가 약 배달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도 대화에 나섰다고 밝혔다.

그는 “약 배달 서비스에서 비필수 의료에 이은 비급여 의약품 처방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며 “다이어트약, 탈모약, 피임약 등에 대한 배달이 가능하다면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원격 진료로 병원에서의 감염을 막으려던 정부의 취지를 악용하는 행위”라며 “한시적 허용 취지에 맞게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관련 대책 강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약 배달 규제 철폐에 반대하는 약사회를 향해 ‘밥그릇 싸움’이라고 지적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론을 펼쳤다.

정 이사는 “약 배달은 결국 의료체계 붕괴를 가져올 큰 문제”라며 “미국과 일본 등 해외 사례를 계속 제시하지만, 이 국가들은 우리나라와 다른 의약환경에서 사업을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점을 고려하지 않고 억지로 우리나라에 똑같이 적용하려 하면 안 된다”며 “정부는 규제챌린지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말하지만, 2만 3000개 약국을 사라지게 하고 만든 일자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힐난했다.

실례로 “미국처럼 온라인 약국이 활성화된다면 결국 실제 약국은 전국에 다섯 개만 필요한 수준까지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1차 의료 붕괴를 가속화 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약배달 서비서의 편리성을 강조하는 목소리에 대해서는 “배달 중심의 약국이 정착된다면 결국 더 많은 약을 처방하도록 의료행위를 조장하는 약국이 등장하게 된다”며 “약에 마진을 붙이는 미국의 상황을 수가 중심인 우리나라에 적용하려 해선 안 된다”고 역설했다.

이어 “약 배달 허용을 요구하는 측의 주장에서 강조되는 것은 편리성”이라며 “편리성을 생각하면 약 배달이 맞지만 약사의 존재 이유는 편리함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