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약제내성 감시 관리 강화한다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내성 억제 효과
2006-02-11 의약뉴스
복지부가 약제 내성을 감시하고 관리를 강화한다. 복지부는 최근 국민간강증진종합계획을 대폭 수정해 새로 정비했다.
이 가운데‘약제내성 감시와 관리, 기반연구 강화’ 사업은 얼마 전 요양기관 항생제 사용내역 공개와 맞물려 주목받는 사업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항생제와 항바이러스 치료제 내성주에 대한 감시, 관리 체계를 강화해 내성주의 발생증가 억제하는 것으로 모아진다.
이를 위해 ▲ 병원내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 내성주 내성 실태조사 및 감염관리 시스템 구축 ▲ 내성 정보 네트워크 구축 및 전산화를 위한 정보 표준화 ▲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적정 사용 평가를 위한 기준 개발 및 적용 ▲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 내성주의 발생 위험요인 분석 및 전파경로 역학조사 ▲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 검출법 개발 및 내성유발 기전 등 기반 연구 등을 진행한다.
특히 병원감염에 대한 감시ㆍ관리 체계를 강화해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증가 억제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이를위해 ▲ 중환자실 대상 병원감염 감시메뉴얼 표준화 및 실태조사 ▲ 주요 병원감염 부위별, 병원체별 병원감염 발생 실태조사 ▲ 감시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상기관 확대 ▲ 병원감염 및 관리를 위한 지침개발 및 교육ㆍ홍보 등을 시행한다.
이와관련 11일 복지부 관계자는 “1,2차 의료기관 임상분리주의 내성병종 검사와 주요 내성균 검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장내 세균, 폐렴구균, 빈혈증이나 요로 감염 같은 혈액에서 분리되는 균 등에 대해 항생제 내성검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질병관리본부 항균 내성 홈페이지에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06년에 가장 힘을 기울이는 사업을 ‘표준화’와 ‘대상과 교육의 확대’라고 강조했다. 병원별, 개인별로 가지고 있는 다양한 차이를 단순화시키고 요양기관의 폭넓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복지부는 또한 원인균에 대한 내성검사를 외부에 의뢰해 실시하고 있으며 미국 NCC의 시험법 표준안을 정리해 보급하고 있기도 하다. 항생제 과다조사를 TFC나 MST 등 다양한 방법으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10년까지 연차별로 추진된다. 예산계획을 보면 2006년 9억원, 2007년 15억원, 2008년 25억원, 2009년 30억원, 2010년 35억원 등으로 점차 늘어난다.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nicebong@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