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질환, 사회가 나눠 짊어져야”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과 박준동 교수

2006-02-07     의약뉴스
“어린이 중증 환자의 경제적인 모든 부담은 가정이 떠맡고 있어요. 이를 사회가 나눠 짊어져야 합니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과 박준동 교수는 7일 의약뉴스와 인터뷰에서 “현재 후원문화가 활발해지고 있지만 소아중증 환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낮은 편" 이라면서 " 지금보다 보편화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아 질환의 경우 그 특성상 성인질환과는 달리 더 많은 인력과 장비의 투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세심한 진료와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소아환자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과 낮은 이해도, 국내 정책 및 지원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박 교수는 안타까워 했다.

그는 “대부분의 지원이 후원회를 통해 이뤄지지만,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를 도와주는데 한계가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어린이병원은 2001년 설립된 후원회의 도움으로 설립된 해에 1명을 지원했고 이듬해는 21명, 20033년 43명, 2004년 33명 지난해에는 59명을 지원했다. 매해 지원하는 환아가 늘고 있지만 대부분 치료비가 고액이어서 부족한 점이 많다.

실제로 유잉유종(Ewing Sarcoma)을 겪고 있는 환아(여, 만 3세)의 경우 8백 5만 3,840원이 지원됐으나 여전히 부족한 상태다.

이 환아의 부모는 어린나이에 결혼해 환아모가 가출한 상태다. 환아부는 공익근무요원으로 생계를 이유로 복무에 충실하지 못해 10개월간 징역을 살기도 했다.

환아의 조부가 있지만 일용직 일을 하다 심부전으로 그만두고, 증세가 악화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대개는 소아환자의 경우는 이런 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불법체류중 1,000g이 안되는 미숙아로 버려진 아이도 수녀회와 후원회를 통해 치료받고 있는 경우도 있다.

박 교수는 “후원회의 지원금이 연간 2억 5,000만원 정도인데 전액 불우 환자에게 지원하고 있다”며 “경제적 어려움과 가정형편상 문제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우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부금으로 병원을 설립하는 의료선진국을 예로 들며, “정당한 투자가 이뤄지지 못하는 부분은 사회 모금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또 홍보의 필요성도 역설하며 “‘블루밴드 운동’으로 병마와 싸우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고 병원 교직원과 외부 홍보로 어린이병원을 알리는 운동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정부의 구조적인 문제도 꼬집었다.

박 교수는 “250병상의 어린이병원이 400억을 벌기위해 52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며 “적자를 정부지원으로 충당하기보다 의료보험수가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많이 개선됐지만 정해진 재원을 어떻게 분배하느냐는 정부의 몫이란 주장이다.

그는 “환우 한명을 검사할 시간에 4명을 검사하고 있다”며 “시간과 인적·물적 투자가 많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의약뉴스 박진섭 기자(muze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