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코로나19 백신ㆍ치료제 개발 위한 국내제약사 지원 ‘미흡’
서정숙 의원 국감서 지적...“바이러스 7종 중 2종만 연구용 공급”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힘을 쏟은 지 7개월이 지났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구를 위해 정부가 민간 제약사 등에 제공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체 7가지 종류 중 2종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대응이 미흡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서정숙 의원은 7일 보건복지부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서 의원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올해 2월 11일부터 9월 7일까지 총 263건의 바이러스를 연구용으로 분양해 왔는데, S타입 233건, L타입 30건으로 2종류의 바이러스만 제공했다.
서 의원은 “특히 우리나라의 감염 상황을 살펴보면, 지난 5월 이태원클럽발 감염확산 이후 GH형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고 있고 질병관리청 역시 코로나19 감염확진자 1040명의 유전자 서열 정보를 분석을 통해 GH타입이 67.4%로 가장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4.5%에 불과한 S타입과 L타입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질병관리청이 이태원 감염사태 이후 4개월이나 늦은 9월 15일 GH 등 다른 타입의 바이러스 분양에 나서겠다고 하는 것은 코로나19 종식에 필수적인 백신ㆍ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프라 조성의 구체적인 계획 없이 미봉책에만 급급한 것은 아닌지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질병관리청은 서정숙 의원의 이 같은 지적에 대해 ‘GH형의 분양은 절차를 밟느라 늦었고, S, L형은 긴급한 위기 상황이라 즉시 분양했다’고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제약사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시험할 수 있는 민간 바이러스 연구시설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정숙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의 시설은 국내 72개이지만, 이 중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했다.
특히 백신ㆍ치료제를 직접 개발하는 제약회사가 보유한 시설은 전무해 국내 제약사들은 바이러스 관련 시험 모두를 외부 위탁하고 있어 자체 연구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질병관리청은 9월 13일 발표를 통해 민간 제약사 등 19개 기관의 시험시설 사용 신청에 대해 10곳을 허가했다고는 하지만, 해외 제약사들의 인프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다는 게 서 의원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