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제약업종 불확실성 가중”
미래에셋, “군소社 불리, 상위社 선별공략 주효”
2006-01-23 의약뉴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이 제약업종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미래에셋증권은 “의약품 분야의 경우 한미 FTA 추진에 있어 선결돼야 할 4대 전제 분야 중 하나”라면서 “최근 발표된 한미 FTA의 본격적 추진은 의약품 분야의 불확실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은 한미 FTA 추진과 관련, ▲스크린쿼터 ▲쇠고기 수입 ▲자동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의약품 제도 투명성 제고 등을 선결과제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의약품 분야는 한미 FTA가 본격 추진에 돌입할 경우,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분야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미래에셋증권은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미래에셋증권은 향후 한미 FTA의 경우 ▲고가 오리지날 의약품 사용 견제 제도 철폐 ▲약가산정과 재평가 제도에 대한 개정 ▲허가 및 유통 관련 제도 개선 등의 방향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래에셋 황상연 연구원은 이와 관련 “향후 한미 FTA는 전반적으로 다국적 제약기업들이 보유한 오리지날 의약품의 지적재산권을 방어하고 높은 약가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며 “이러한 제도 변화는 군소 제네릭 위주 업체에 불리한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그는 이어 “이러한 제도 변화가 국내 제약사에 일방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비관 일변도의 시각 또한 바람직하지 못하다”면서 “일정한 대응전략을 갖춘 상위 제약사에 대한 한정된 관점의 대응이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연구원은 이와 관련, 약가 인하 정책에 대한 제동이 꼭 오리지날 제품에 일방 유리한 것으로 보기 어렵고, 국내 의약 관련 제도가 이미 해외 표준에 가까운 지적 재산권 보호 토대를 상당 수준 갖추고 있다는 점, 국내 업체들의 자체 개발 신약 수 증가 등을 그 근거로 들었다.
황 연구원은 “향후 약가 재평가가 실적에 미칠 수 있는 변수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에서 이번 한미 FTA 추진은 의약품 분야의 불확실성을 더욱 가중 시킬 것”이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상위 업체 위주의 선별적 공략이 유효하다”고 전망했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