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ㆍ중 주도 유전자가위, 국내 현실은
비임상 64%·임상 82% 차지…임상 ‘종양·감염질환’ 집중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 유전자 가위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8일 유전자 가위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동향과 국내외 규제현황 등을 담은 ‘유전자 가위기술 연구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연구자에게 국내외에서 실시되고 있는 비임상·임상연구 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제품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됐다.
유전자 가위기술을 활용한 치료제에 대한 비임상연구 현황은 논문 검색엔진인 Pubmed(2016년 11월 기준)를 통해 확인된 84건을 대상으로, 임상연구 현황(2017년 2월)은 미국 임상등록 사이트(www.clinicaltrials.gov)에 등록된 17건을 대상으로 했다.
국가별 현황을 살펴보면 비임상연구는 총 84건 중 미국이 52%(44건)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중국 20%(17건), 한국 6%(5건), 독일 5%(4건) 순이었다. 임상연구는 미국이 53%(9건), 중국 29%(5건), 영국 18%(3건) 순이었다.
질환별로는 비임상연구는 감염질환 32%(27건), 혈액질환 18%(15건), 유전질환 17%(14건) 등의 비중이 높았으며, 임상연구는 종양관련 연구가 41%(7건), 감염질환 35%(6건), 유전질환 12%(2건) 순이었다.
한편 유전자 가위기술을 활용한 치료제의 개발, 허가·심사 등을 위해 세계적으로 유전자치료제 가이드라인을 준용해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해당 제품 개발 시 적용할 수 있는 유전자 치료제 품질·비임상·임상시험 가이드라인을 운영 중이며, 향후 제품 특성에 맞춰 필요 시 추가적인 가이드라인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안전평가원은 “앞으로도 유전자 가위기술을 활용한 치료제 등 새로운 과학기술 연구동향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연구자들의 제품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