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요양보험, 공동전선 구축 제의
노인의학회 “의협·市醫·학회 손잡자”…對정부 압박
2005-06-03 의약뉴스
대한노인의학회(회장 이중근)가 오는 7월 시범사업을 앞두고 있는 공적노인요양보험제도와 관련 對정부 공동전선 구축을 의료계에 촉구했다.
현재 의사협회와 서울시의사회가 별도로 태스크포스팀을 꾸리고 있고, 노인의학회 역시 개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어 對정부 압박력이 분산되고 있기 때문.
노인의학회는 2일 기자회견을 갖고 “현대판 고려장 제도인 노인요양보험제도가 그대로 시행되는 것은 문제”라며 “오는 7월 시범사업을 앞두고 의료계가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인의학회 장동익 이사장(내과의사회 회장)은 “노인요양보험제도는 의약분업보다 더 큰 핵폭탄”이라고 경고한 뒤 “의료계의 지각변동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국민건강에도 위협이 될 것”이라며 의료계에 거듭 공동대응을 촉구했다.
장 이사장은 “의협의 목소리만 나면 일각에서는 또 밥그릇 싸움을 한다는 비난이 쏟아질 것”이라며 “의협과 서울시의사회, 노인의학회가 공동전선을 구축하면 훨씬 큰 대정부 압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인의학회는 특히 의협이나 서울시의사회와는 별도로 6개 시범사업 지역 가운데 2곳을 선정, 시범사업 기간(1년) 동안 노인요양보험제도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한 용역을 맡길 계획이다.
총 1억2천만원의 거액을 투자, 정부의 ‘先요양 後 치료’ 방침과 노인의학회의 ‘先 치료 後 요양’ 주장에 대해 경제성과 질을 평가하겠다는 것.
노인의학회는 연구용역 역시 의협과 서울시의사회가 함께 진행하고, 결과에 대한 공동발표와 대정부 공동건의 등을 제안했다.
기자회견에 배석한 이명희 부회장은 “4천원을 부담해서 노인요양의 질이 어느 정도겠느냐”고 반문한 뒤 “용역을 통해 세밀한 효과를 분석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노인의학회는 이와 함께 노인병전문의제도를 학회 차원에서 추진, 오는 12일 춘계학술대회부터 진행하기로 했다.
기존 학회와는 달리 CME 포인트를 도입, 학술대회에서 충실히 강의를 수료하고 테스트를 통과한 의사들에게만 노인병전문의인증을 주겠다는 것.
이를 통해 노인병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 향후 전문의가 노인요양보험제도에 적극 관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중근 회장은 “정부가 노인요양보험제도에 의사를 배제시키려 할수록 노인병전문의가 돼야 하고, 관여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노인병에 관해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라도 정부에 더 이상 밀릴 수는 없다”고 역설했다.
노인의학회 춘계학술대회는 오는 12일 오전 8시부터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 2층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의약뉴스 홍대업 기자(hongup7@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