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 해결, 제약업계 ‘해결사’ 되나
종사자 5년간 2만여 명 증가…고용 질 개선에도 기여
내수 위축과 투자 침체 등으로 인한 취업난이 장기화되고 있지만, 제약업계에서는 매년 종사자 수가 늘어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제약협회가 27일 집계·발표한 ‘제약업계 고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제약업계 종사자 수는 9만4929명으로, 2011년 7만4477명 대비 27.5% 증가했다.
5년 동안 2만여 명이 늘어난 것으로, 단순 계산하면 제약산업에서 지난 5년간 매년 4000명 이상의 신규 인력을 고용한 셈이다.
특히 제약산업은 양질의 인력 채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산업 자체가 지식기반 산업인 만큼 고학력, 연구직 종사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제약산업에 종사하는 연구직은 2016년 1만1862명으로, 2011년 8765명 대비 3000여 명이 늘었으며, 2016년 한 해에만 800여 명이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석·박사급 전문 인력의 증가세도 두드러지는 모습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2014년 발표한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산업 전체의 연구인력 가운데 석·박사 비중은 32.5%, 제조업은 33.7%인 반면 제약산업이 중심이 되는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업종에 채용된 연구인력 중 석·박사 비중은 71.7%에 달했다.
이는 산업 전체와 비교했을 때는 물론이고, 제조업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에도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이다.
고학력 연구직뿐 아니라 생산직에 대한 고용도 확대되는 추세다. 제약업계 생산직 종사자는 2011년 31.6%(2만3539명)에서 2016년에는 33.8%(3만2104명)으로 증가했으며, 현재 제약산업 직군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 5년간 사무직·영업직 종사자 수의 경우 전체 종사자 중 차지하는 비율은 줄었지만, 종사자 수 자체는 증가했다.
사무직 종사자는 2011년 1만4426명에서 2016년 1만7604명으로 늘었고, 영업직은 2만4535명에서 2만6443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비율은 사무직이 19.37%에서 18.54%로, 영업직은 32.94%에서 27.85%로 감소했다.
전체 구성으로 살펴보면 연구직과 생산직이 늘어난 반면 사무직과 영업직은 차지하는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이는 제약사들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과 품질관리 향상에 주력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더해 제약업계는 향후 고용 전망도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제조업 취업자 전망 보고서(2016년)’에 따르면 23개에 달하는 전체 제조업 중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의 취업자 증가율(2014~2024년)이 2.6%로 예상돼 가장 높았다. 전체 제조업 평균인 0.8%와 비교했을 때 3배 이상 높은 수준의 취업자 증가가 전망된 것이다.
한편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은 2016년 12월 발표한 ‘한국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한 바이오·헬스산업의 진단과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경제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성장하기 위해서는 주력산업의 위기극복과 함께 제조업의 경쟁력 회복, 바이오헬스산업과 바이오 기반 융합 신산업의 성장이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미국의 생명과학 산업은 7만7000개 사업체에 걸쳐 166만 개 고용 창출을 이뤘다”면서 “생명과학의 혁신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