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AC 시장, 뛰는 자렐토 나는 엘리퀴스
지난해 110%·188% 성장…릭시아나 ‘고전’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NOAC)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BMS 엘리퀴스와 바이엘 자렐토의 성장세가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비스트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NOAC 시장은 733억 원의 원외처방 실적을 기록해 2015년 323억 원 대비 127.4% 성장했다.
NOAC 시장이 이처럼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2015년 7월 이후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 예방을 위한 1차 치료제로 급여가 확대됐기 때문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이 시장에서 가장 두각을 보인 제품은 BMS 엘리퀴스로, 2015년 61억 원에서 2016년에는 174억 원으로 무려 187.5%나 성장했다.
시장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바이엘 자렐토도 2015년 152억 원에서 2016년 319억 원으로 110.0% 증가했다.
반면 시장 2위를 유지하고 있는 베링거인겔하임 프라닥사는 2015년 110억 원에서 2016년 198억 원으로 80.0% 성장했다. 성장률 자체만으로는 뛰어난 성적이지만, 경쟁 제품이 더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상대적인 열세를 보였다.
특히 3위 엘리퀴스와의 격차가 2015년 50억 원에서 2016년에는 24억 원으로 크게 감소했으며, 지난해와 같은 성장세가 올해까지 이어질 경우 2위와 3위 자리는 뒤바뀔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프라닥사의 성장률이 엘리퀴스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안전성 문제 때문으로 풀이된다.
NOAC의 경우 출혈에 대한 위험을 중요시하는데, 엘리퀴스가 타 경쟁제품보다 우월한 출혈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더 선호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난해 프라닥사의 역전제인 프락스바인드를 출시하기도 했지만, 애초에 출혈위험이 낮은 엘리퀴스의 경쟁력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NOAC 시장에 가장 늦게 진입한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는 판매 첫 해인 지난해 42억 원의 실적을 올리는 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