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치주염, 발기부전 위험과 연관
기존의 연구 자료에 대한 새로운 분석결과에 따르면 잇몸질환이 있는 남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발기부전을 겪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연구진에 의하면 만성적인 세균성 잇몸 감염인 치주염은 성인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며 주된 치아손실 원인이라고 한다. 치주염은 심혈관계 질환 및 염증 위험과 이에 따른 뇌졸중 및 동맥경화와 연관이 있는데 뇌졸중과 동맥경화는 발기부전과 연관돼 있다.
국제발기부전연구저널에 게재된 이 연구의 수석저자인 중국 광저우 의과대학 제1부속병원의 즈강 자오 박사는 “치주염 환자들에서 발기부전의 실제 생물학적 기전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하며 “발기부전이 있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치과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만성 치주염이 있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성기능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에는 아직 이른 단계이지만 만성 치주염 환자에게 발기부전 가능성에 대해 알리는 것은 유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발행된 연구 5건의 자료를 분석했다. 이 연구들의 자료에는 20세에서 80세 사이의 성인 21만3000명에 대한 정보가 포함돼 있다.
각 연구에서는 만성 치주염 치료를 받은 남성들의 발기부전이 더 흔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러한 경향은 59세 이상 남성보다 40세 이하 남성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잇몸질환과 성기능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뇨병 유무에 대해 고려했을 때 발기부전은 치주염이 없는 남성보다 치주염을 앓는 남성에서 2.28배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자오 박사는 “만성 치주염은 다수의 만성질환들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매일 치간 청소를 통해 치석과 잇몸 염증을 줄이도록 권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고 말하며 “만성 치주염 치료는 염증을 제한 혹은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기부전 위험도 줄일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2013년에는 치주염 치료가 발기부전 증상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새로운 분석결과는 발기부전과 만성 치주염이 노화, 흡연,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같은 비슷한 위험요인에 의해 유발된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연구진은 일부 연구에서는 당뇨병이 구강건강과 성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