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의약품유통 투명화 ‘잰걸음’

의약품종합정보센터ㆍ구매전용카드 전면 도입

2005-03-29     의약뉴스
복지부가 구매전용카드 도입 등 의약품 유통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사업 강화에 나섰다.

보건산업진흥과는 28일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및 정책연구사업과 관련 의약품안전성 확보 및 의약품 유통투명화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복지부는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구매전용카드의 전면 도입과 의약품종합정보센터의 설립을 통한 의약품 생산ㆍ유통ㆍ소비의 사전감시체제로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복지부는 우선 의약품 위해로 인한 국민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관리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토록 ‘의약품 안전확보를 위한 리스크 관리방안 연구’에 4천만원을 책정해 4월부터 6개월간 진행키로 했다.

이 사업을 통해 ▲의약품의 리스크 수준 구분 및 평가기준 ▲의약품 회수ㆍ처방 및 조제 제한 등 중재전략 ▲보건의료인과 소비자에 대한 리스크 홍보 및 정보제공 ▲리스크 관리결과 보고서 제출 및 평가 방안이 연구된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의약품 유통정보 확보 및 활용방안 연구’에 3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했으며, 의약품 구매전용카드 도입의 타당성과 사업모형개발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동 연구에서는 의약품 유통정책에 필요한 정보수요를 조사 및 국내 의약품 정보시장 분석 등 의약품유통정보 현황을 분석은 물론, 유통정보 수집ㆍ공개에 대한 법제도적 타당성 검토가 이뤄질 계획이다.

보건산업진흥과 관계자는 “지난해 PPA 문제와 올해 초 가짜 노바스크 유통 등 의약품 유통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동 사업을 진행키로 했다”면서 “산발적으로 실시되는 구매전용카드의 전면 도입을 년 내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올 하반기에 의약품종합정보센터 설립이 추진될 예정”이라며 “이는 그동안 사후관리에 의존하던 의약품 유통영역에서 사전적 감시강화 체계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 한다”고 덧붙였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