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따라 몰려오는 춘곤증, 피로
규칙적인 생활과 가벼운 운동으로 극복
2005-03-14 의약뉴스
이처럼 몸이 나른해지고 피곤하며 졸음이 자주 오는 이른바 춘곤증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직장인들의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는 가장 대표적인 신체증상도 '피로'이며, 다른 원인질환에 의해서도 만성적인 피로가 나타날 수 있다.
서로 다르지만 같은 뜻으로 오해하기 쉬운 봄철 피로에 대해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유병연 교수(사진)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춘곤증이란 보통 1~3주가 되면 없어지는, 피로를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일시적인 환경부적응증으로써 일종의 계절병이다.
이러한 춘곤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추운 겨울철 움츠렸던 인체가 봄날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피로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일조시간이 길어지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근육이 이완되어 나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외출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단백질ㆍ비타민ㆍ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의 필요량이 증가하므로 이를 충분하게 섭취하지 못할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춘곤증의 증상으로는 피로감, 졸음, 식욕부진, 소화불량, 현기증 등 다양한 증세가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는 불면증, 손발저림, 두통, 눈의 피로 등 무기력한 증세가 나타나기도 하며, 기운이 없거나 가슴이 뛰고 얼굴이 달아오르는 등 갱년기 증세와 비슷한 신체적 변화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춘곤증은 겨울 동안 운동이 부족했거나 과로가 많이 쌓인 사람에게서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심해지게 된다.
유 교수는 춘곤증 극복법으로 ▲아침식사는 꼭 챙겨라 ▲가능하면 10분 정도의 낮잠을 자라 ▲가벼운 운동을 시작하라 ▲커피, 음주, 지나친 흡연은 삼가라 ▲비타민 B1, C가 많고 입맛을 돋구는 음식을 먹어라 ▲잠은 규칙적으로 자라 ▲환기를 자주 시켜라고 강조했다.
춘곤증 그 자체는 질병이라고 할 수 없지만 봄철 나른함의 원인을 단순히 춘곤증으로 생각하고 가볍게 넘겨 버리면 간염, 결핵 등 증상이 비슷한 다른 중요한 질병의 초기 신호를 놓칠 수도 있다.
사람들이 만성 피로를 느끼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무리하지 않고 쉴 만큼 쉬었는데도 피로가 지속되면서 체중감소나 식욕부진 등 증세가 오래 지속되거나 이상이 느껴질 때에는 질병을 의심해봐야 하고 전문의를 찾아가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의약뉴스 김은주 기자 (snicky@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