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품비협조 약국 64% 지부 '몫'

이중업무 "거 고민되네"

2005-03-09     의약뉴스
16개 지부약사회가 64%에 달하는 반품비협조 회원을 놓고 갈등에 휩싸였다.

이는 대한약사회(회장 원희목)가 반품을 요구한 회원들을 대상으로 동 사업을 진행키로 사업초기부터 밝혀왔기 때문.

따라서 지난해 말까지 대약에 접수된 6천236개 약국(36%)을 제외하면 전체 1만7천여개 회원약국 가운데 약 64%가 지부약사회의 몫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이미 일부 지부에서는 3월초부터 제약사와 반품협의체 구성을 완료하고 반품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2월말 이사회와 총회 등을 치룬 지부의 경우 3월 중순경 협의체가 구성될 전망이어서 향후 지부별 반품사업의 최대 변수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반품요구 약국들 역시 반품재고약의 일부만을 상신 했다는 점과 대약 뿐만 아니라 지부 반품사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이중적인 부담을 지부에서 져야한다는 견해까지 나오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그 동안 지부별로 실시했던 사업인 만큼 대약이 일반약과 전문약 등에 대해 제약사에 일종의 압력을 가함으로서 반품사업이 수월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약 관계자는 "대약에 반품을 요구한 회원이 30% 정도로 나머지 70%의 약국에 대한 반품사업이 분회별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시약 자체적으로 반품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역시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인천시약 관계자의 경우 "일반약 등 대약이 추진하는 반품사업이 가시적인 성과가 있어야 하고 또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라며 "하지만 반품을 요구한 약국들도 전체 재고량을 올린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약이 집계한 수치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의약분업이 계속되는 한 재고약 반품문제는 약사회가 짊어지고 가야할 숙제"라면서 "대약이 정책적으로 추진하는 소포장 의무화 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결국 매년 같은 일을 반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